공 부 방

[지반조사] 토질 및 기초 지질조사

꺼비♡꺼비 2016. 11. 4. 12:37


[지반조사] 토질 및 기초 지질조사


1. 지 반 조 사                            


☆ 개 요
지반조사란 지표로부터 지반내를 천공, 착공하여 지반의 성층상태 및 토성을 파악할 수 있고, 실내시험에 사용할 시료를 채취할 수 있으며, 표준관입시험, 공내재하시험 등의 현장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지반조사는 계획 구조물 기초설계 및 시공에 요구되는 제반,지반공학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조사방법
▶ 조사위치 선정
조사위치는 설계자와 협의하여 도상 계획한 후 현장답사를 실시하여 지형상황 및 주변여건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 시추조사
조사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지층을 분류하고 시료채취 및 지하수의 분포상태 등의 지반공학적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회전수세식(Rotary Wash Type) 시추기를 사용하여 BX 내지 NX구경으로 시추하고, 굴진 심도에 따라 공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Casing을 삽입하면서 굴진 작업을 실시한다.
시추시의 굴진속도, Slime상태, 순환수의 색조, 표준관입시험치(N치) 등을 근거로 하여 수직 및 수평 지층분포상태를 확인하며, 각 지층별 층서와 지층의 층후를 규명하여 수록한다. 또한, 채취된 시료는 시추공 심도별로 구분하여 시료상자에 층 순서에 따라 정리하여 보관한다.


☆ 조사장비
지반조사용으로 이용되는 회전 수세식 시추장비의 주요 부품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케이싱(casing) : 주로 토사층에서 시추공의 붕괴를 막기 위해 이용 되는관
▶ 리밍 셀(reaming cell) : 비트가 지반을 마모 굴진하는 동안 공경을 확대하기 위한 장비
▶코아베럴(core barrel) : 비트에 의하여 원지반에서 분리된 코아를 수용.회수하기 위한 부분으로 단관(single core barrel), 이중관(double core barrel), 삼중관 코아 베럴(tripple core barrel) 등이 있다.
▶비트(bit) : 로드 선단에서 직접적으로 지층을 천공(예, 메탈비트, 다이아몬드비트)하는 부품



☆ 표준관입시험
시추작업과 병행하여 토층의 상대밀도 및 연경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표준관입시험을 한국산업규격 (KS F-2318)에 의거 심도 1.5m마다 또는 토층이 변할 때마다 실시하였으며 이때 교란된 시료도 함께 채취하였다. 본 시험은 중량 63.5kg의 해머를 76c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샘플러가 30cm 관입하는데 소요되는 타격회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총 45cm를 관입 시키는 필요한 타격횟수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표준관입시험시 매 15cm를 관입시키는데 소요되는 타격횟수를 측정하여 기록하였으며, 이때 처음 15cm를 관입시키는데 필요한 타격횟수는 예비타격 횟수이며 그 후 30cm 관입에 소요되는 타격횟수를 관입저항치(N치)로 하여 시추주상도에 기입하였다. 그러나 50회 타격후에도 30cm가 관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50회 타격시의 관입량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표준관입시험시 채취된 시료중 일부는 흙의 분류와 실내토질시험에 사용하였고 나머지 시료는 함수량이 변하지 않도록 시료병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시험위치 및 심도 등을 기재하여 시료표본상자에 보관하였다.


☆ 공내 지하수위 측정
본 조사지역의 지하수위 분포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시추공에서 시추작업 완료 후 24시간이상 경과한 후 지하수위가 안정된 상태에서 공내지하수위를 측정하여 시추주상도에 기입하였다. 그러나 시추조사시 측정된 지하수위는 시추시기에 해당하는 일시적인 것이며 계절의 변화, 강우량, 해수간만의 변화, 주변지역의 토공작업에 따른 지하수 유출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변화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