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무등산전국 산행기 2025. 5. 27. 10:23
# 언제: 2025년 05월 24일 토요일# 산행지: 무등산 광주의 진산으로 동서남북 조망 어머니 의 산 무등산, 걸어본다...ㅎㅎㅎ # 산행거리: 16.1km 05시간 24분# 산행루트: 원효사주차장 - 규봉암 - 장불재 - 입석대 - 서석대 - 중봉 - 동화사터 - 토끼등 - 바람재 - 원효사 - 주차장 산 산이위에있으니산을 오릅니다 구슬땀을 흘리며한발한발 무거운 발걸음을 옮길지라도또다른 세상이 펴쳐진대 자연의 신비는땅에서 느끼는 그것과는천지 차이랍니다 산이 말없이 오라하니다시 등산가방을 짊어지고저벅저벅 산으로 향합니다마음은 늘 산으로...! -꺼비- 무등산(無等山) 광주의 어머니산 무등산이 도립공원 지정 40여년만인 2013년 3월 4일 한국의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환경부는 2..
-
경복궁(景福宮)전국 산행기 2025. 5. 23. 09:36
# 언제: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어디: 경복궁(景福宮)# 위치: 서울 종로구 사직로 161 1층 경복궁(景福宮) 1392년 조선 건국 후 태조는 3년 뒤에 수도를 개경(지금의 북한 개성)에서 한양(지금의 서울)으로 옮기기 위해 종묘와 사직, 그리고 궁궐을 지었다. 제일 처음 지어진 경복궁(景福宮)은 백악산(지금의 북악산) 아래로 넓은 지형에 건물을 배치한 법궁(法宮)으로, 태조는 이곳에서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1398년 정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수도를 개경으로 옮겼다가 태종이 왕위에 오른 후 1405년(태종 5) 수도를 다시 한양으로 옮겼다. 경복궁(景福宮) 조선의 정궁. 사적 제117호. 정연한 배치체계를 갖춘 궁궐로 북궐이라고도 한다. 이성계가 한양을 도읍으로 삼으면서..
-
청와대(靑瓦臺)전국 산행기 2025. 5. 23. 09:17
# 언제: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어디: 청와대(靑瓦臺) #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 총면적 : 25만 3,505㎡역사1426년 : 경복궁 후원1868년 : 경복궁 복원 후 북원이라 칭함1939년 : 일제 총독관저1945년 : 미군정 사령관저1948년 : 대통령관저 경무대1960년 : 청와대로 개칭1991년 : 본관 준공2010년 : 일반인 관람자 약 27만 명 청와대(靑瓦臺) 청와대 주변 지역이 역사서에 처음 기록된 것은 고려 숙종 때인 1104년 무렵입니다.고려는 개경(지금의 북한 개성)과 함께 서경(평양), 동경(경주)을 삼경으로 두었는데 숙종 때 동경 대신 청와대 주변으로 추정되는 곳에 이궁(離宮)을 설치하고 남경으로 삼았습니다.남경은 ‘남쪽의 서울’이란 뜻입니다. ..
-
지리산 둘레길 2구간지리산 둘레길 구간[걷기] 2025. 5. 23. 08:42
# 언제: 2025년 05월 18일 월요일# 산행지: 지리산 둘레길 2구간 운봉-인월(9.9km) # 산행거리: 9.90km 03시간 17분# 산행루트: 운봉읍 – 서림공원(0.2km) – 북천마을(0.8km) – 신기마을(1.1km) – 비전마을(2km) – 군화동(0.8km) 흥부골자연휴양림 (2.9km) – 월평마을(1.5km) – 구인월교(0.2km) – 인월안내센터(0.4km) 지리산 둘레길 2구간(운봉-인월)안내도 지리산 둘레길 2구간 운봉-인월(9.9km)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와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를 잇는 9.9km의 지리산길. 운봉-인월 구간은 오른쪽으로 바래봉, 고리봉을 잇는 지리산 서북능선을 조망하고 왼쪽으로는 고남산, 수정봉으로 이어지는..
-
지리산 둘레길 1구간지리산 둘레길 구간[걷기] 2025. 5. 23. 08:38
# 언제: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산행지: 지리산 둘레길 1구간 주천-운봉(14.7km) # 산행시간: 14.7km 05시간 00분# 산행루트: 주천면 – 내송마을(1.1km) – 구룡치(2.5km) – 회덕마을 (2.4km) – 노치마을(1.2km) – 가장마을(2.2km) - 행정마을(2.2km) – 양묘장(1.7km) – 운봉읍(1.4km) 지리산 둘레길 1구간(주천 - 운봉) 안내도 지리산 둘레길 1구간주천-운봉(14.7km)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장안리 외평마을과 남원시 운봉읍 서천리를 잇는 14.7km의 지리산둘레길. 지리산 서북능선을 조망하면서, 해발 500m의 운봉고원의 너른 들과 6개의 마을을 잇는 옛길과 제방길로 구성된다. 이 구간은 옛 운봉현..
-
지리산 둘레길 구간지리산 둘레길[역사기행] 2025. 5. 19. 11:13
지리산 둘레길 1구간 주천-운봉(14.7km)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장안리 외평마을과 남원시 운봉읍 서천리를 잇는 14.7km의 지리산둘레길. 지리산 서북능선을 조망하면서, 해발 500m의 운봉고원의 너른 들과 6개의 마을을 잇는 옛길과 제방길로 구성된다. 이 구간은 옛 운봉현과 남원부를 잇던 옛길이 지금도 잘 남아있는 구간이다. 회덕에서 남원으로 가는 길은 남원장으로, 노치에서 운봉으로 가는 길은 운봉장을 보러 다녔던 길이다. 특히 10km의 옛길 중 구룡치와 솔정지를 잇는 회덕~내송까지의 옛길(6km)은 길 폭도 넉넉하고 노면이 잘 정비되어 있으며 경사도가 완만하여 아이를 동반한 가족들이 솔숲을 즐기기에 더할 나위없이 좋다. 주천-운봉(14.7km)주천면 – 내송마을(1.1km) – 구룡치(2.5km..
-
지리산 둘레길지리산 둘레길[역사기행] 2025. 5. 19. 10:28
지리산 둘레길은 사람과 생명, 성찰과 순례길지리산둘레길은 지리산 둘레를 잇는 길에서 만나는 자연과 마을, 역사와 문화의 의미를 다시 찾아내 잇고 보듬는 길입니다. 한 땀 한 땀 수놓듯 이어가는 지리산 둘레길을 통해 만나는 사람, 풀 한포기, 나무 한 그루, 모든 생명들의 속삭임을 귀 기울여 들어 보세요. 외따로 떨어져 지내며 이제나 저제나 사람의 체취를 느끼고 싶어 동구 밖을 하염없이 바라 보시는 할머니.소로 이랑을 갈며 한 해, 한 철 농사를 이어가는 농부. 한 때는 좌, 우로 나뉘어 낮과 밤을 달리 살아야 했던 아픈 상처도 지리산 길은 품고 있습니다. 지리산 길의 출발은 순례길. 2004년 ‘생명 평화’를 이 땅에 뿌리고자 길을 나선 순례자들의 입에서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마을과 마을을 이어주는 지..
-
황매산(黃梅山)전국 산행기 2025. 5. 14. 09:51
# 언제: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산행지: 진분홍 철쭉으로 치장한 황매산 산상정원 길 따라 철쭉 꽃 산행# 산행거리: 7.00km# 산행루트: 대기마을 - 누륵덤 - 828봉 - 황매평전 - 덕만주차장 황매산(黃梅山) 해발 높이 1,113.1m 황매산은 합천을 대표하는 산이며, 명소로 새집골, 옛 절터, 와포수에 희덤이 우뚝솟은 산이다.합천호 푸른 물에 하봉, 중봉, 상봉의 산 그림자가 잠기면 세송이 매화꽃이 물에 잠긴 것같다고 수중매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는 황매산은 화강암 기암괴석과 소나무, 철쭉, 활엽수림이 어우러져 탈속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산 아래의 황매평전은 목장지대와 고산철쭉 자생지가 있으며, 통일신라시대의 고찰인 염암사지(사적131호)가 있다. 모산재 위쪽 정상 바로 아래에 넓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