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 박물관(역사,문화,)
-
연곡사, 鷰谷寺지리 박물관(역사,문화,) 2024. 2. 12. 17:05
위치;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산54-1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화엄사 말사 백제 성왕 22년(544년) 인도 고승 연기조사가 창건 풍수 지리를 보려고 처음 이곳에 왔을 때 연못에서 제비 한 마리가 소용돌이 치며 날아오르는 것을 보고 연못을 메꾸어 법당을 짖고 제비燕자, 골谷자를 써서 연곡사라 하였다.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까지는 선종 사찰로 번성하였고, 도선국사, 현각선사, 진정국사, 영관선사, 소요대사, 등 휼륭하고 덕망 높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연곡사, 鷰谷寺 연곡사,鷰谷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에 있다. 연곡사의 연혁에 대해서는 1993년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펴낸 에 믿을 만한 내용이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신라 제35대 경덕왕(742~765 재위) 때 緣起祖師가 창건하였..
-
명암(明庵) 정식(鄭拭)의 산청 무이구곡(武夷九曲) - 24년02월03일지리 박물관(역사,문화,) 2024. 2. 5. 13:24
명암(明庵) 정식(鄭拭)의 산청 무이구곡(武夷九曲) 명암(明庵) 정식(鄭拭, 1683∼1746)이 경남 산청군 구곡산에 설정한 무이구곡의 입지, 시어(詩語), 건립 정사(精舍), 경물 제명(題名) 그리고 바위글씨(刻字) 등의 구곡경영 사례를 문헌 및 현장조사를 통해 밝힘으로서 주자의 무이산 무이구곡 유거강도(幽居講道) 행적에 대한 모방 등 추존(推尊)과 조선적 변용(變容)이 어떠한 방식으로 펼쳐졌는지를 살피고자 한 것으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홍교(1곡)-옥녀봉-농월담-낙화담-대은병-광풍뢰-제월대-고루암-와룡폭(9곡) 등으로 최종 확인된 명암의 무이구곡은 주자의 무이구곡을 오롯이 조선에 모사(模寫)하고 실천한 대표적 사례이다. 구곡 원림문화라는 큰 틀에서 명암의 무이구곡 경영은 주자 추존을 통한..
-
덕천서원지리 박물관(역사,문화,) 2024. 1. 8. 10:49
덕천서원, 德川書院 1576년(선조 9)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식(曺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09년(광해군 1) ‘德川(덕천)’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그 뒤 최영경(崔永慶)을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0년(고종 7)에 훼철되었다가 1920년대 지방유림이 복원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숭덕사(崇德祠)·경의당(敬義堂)·동재(東齋)·서재(西齋)·신문(神門)·대문(大門)·세심정(洗心亭)·산천재(山天齋)·상실(橡室)·장판각(藏板閣)·별묘(別廟)·문루(門樓)·재실(齋室)·고사(庫舍) 등이 있고, 신도비(神道碑)도 있다. 숭덕사는 3칸으로 된 사우(祠宇)로서, 조식의 위패와 최영경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
-
학동임(鶴洞壬) 석각지리 박물관(역사,문화,) 2023. 10. 23. 10:07
석각의 기록은 1851년 하달홍의 산행기에 처음보인다. ●1851년_하달홍의 두류기(頭流記) (촛대봉)남쪽으로 내려와 몇 리를 가서 만경대(萬景臺)[*청학연못의 바위]]에 이르렀는데, 이는 세상에서 말하는 적석동이다. 이곳의 나무들은 노송나무(편백나무)가 많고, 잣나무가 많고, 푸른 명아주가 많으며, 반은 상수리나무이다. 이곳의 풀은 청옥, 당귀, 작약, 사삼 같은 부류로 다 적을 수가 없다. 돌에‘학동[鶴洞]’두 글자를 새겼고, 그 아래 또‘임[壬]’자를 새겼는데, 같이 간 사람 가운데 권씨 성을 가진 이는 바로 산 아래 사는 사람이지만 오늘에야 처음 보았다면서, ‘옛부터 전해오기를 청학동은 동해 신선들이 사는 곳이라 하여, 이인로 이후 숨어사는 이들을 몰래 찾던 사람들을 헤아려보자면 어찌 끝이 있겠는..
-
지리산을 노래한 詩들지리 박물관(역사,문화,) 2023. 8. 14. 08:48
선녀탕 눌제(訥齊) 양성지(梁誠之)의 지리산 讚詩 智異蒼蒼 倚半空 울창한 지리산은 창공에 높이 솟았고 天岩萬壑 灑飛淙 천만 기암 계곡의 흐르는 물은 폭포수를 이루네. 洞中靑鶴 應期我 이 동중에 청학은 있다고 하나 나를 속이는 말이니 胡不來聞 嶽寺鍾 어찌하여 산사의 종소리마저 들으러 오지 않은고. 눌제(訥齊) 양성지(梁誠之/1415~1482) 본관 남원(南原). 자 순부(純夫). 호 눌재(訥齋) ·송파(松坡). 시호 문양(文襄). 1441년(세종 23) 진사와 생원에 합격하고,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한 뒤 경창부승 ·성균관주부를 거쳐, 이듬해 집현전(集賢殿)에 들어가 부수찬 ·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 겸 고려사수사관(高麗史修史官)으로 《고려사(高麗史)》 개찬(改撰)에 참여하였다..
-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2) 경남 하동군 용강리 판교마을지리 박물관(역사,문화,) 2023. 5. 3. 10:40
진즉 설악의 첫눈 소식이 전해졌지만 기실 산속 깊은 마을 촌로들에겐 이 눈이 반갑지 않을 때가 있다. 버스는 처음부터 다니지도 않았고 비싼 값을 치르고라도 급하게 이용하던 택시조차 오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때면 족히 1시간이나 되는 구부정한 길을 조심조심 내려서야 하니 이들에겐 차라리 폭설 드문 남쪽 땅이 차라리 고맙고 반가울지도 모를 일이다. 지리산 판교마을엔 자가용 한 대 겨우겨우 지날 수 있는 오르막 외길만 있다. 마을을 통틀어 모두 다섯 집. 네 집이 더 눈에 띄지만 이미 버려진 지 오래다. 땅을 보러 오는 사람들은 더러 있지만 객지로 나간 마을 사람들은 땅을 팔 생각이 없단다. 나이가 더 들면, 혹은 자식들이 들어와 살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미련을 버리지 못한 고향집이다. ●마을 통틀어 네 집뿐..
-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1) 전남 구례군 문수리 영암촌지리 박물관(역사,문화,) 2023. 4. 17. 09:57
여순사건 아픔 숨은 저 깊고 깊은 산골 그동안 인기리에 연재됐던 ‘산이 좋아 산이’ 코너는 전국의 가볼 만한 명산을 대부분 다뤘습니다. 따라서 당분간 산 소개를 중단하고, 대신 이번 주부터 우리나라 남도의 주요 산자락에 숨어 있는 ‘산골 마을’을 다루고자 합니다.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한, 혹은 역사의 아픔을 간직한 채 묵묵히 산골을 지키는 마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등산을 떠날 적에 그곳 주변 마을에 한번쯤 관심을 가져본다면, 그 보람과 의미 또한 일석삼조이겠지요. 먼저 지리산 지역의 산마을을 10여회에 걸쳐 소개합니다. 감사합니다. 편집자 주 구례 최고의 명당이라는 토지면 오미리에서 지리산 품속으로 차를 돌려 닿는 곳이 ‘문수리’인데, 저수지 위쪽의 상죽(웃대내)·중대(영암촌)·불당·밤재 등이 문수리에..
-
촛대봉 의인나주정씨묘의 석각과 세석의 이인 정걸방지리 박물관(역사,문화,) 2022. 11. 15. 09:15
촛대봉 의인나주정씨묘의 석각과 세석의 이인 정걸방 지리산 촛대봉에 자연석의 면을 다듬고 새긴 의인나주정씨묘(宜人羅州鄭氏之墓)의 석각이 있다. 이묘의 주인이 누구인가는 알 수 없지만, 지리산길 지도에 정걸방(鄭乞方)의 묘라고 표기하고 있다. 어떤 근거에 의해서 정걸방의 묘라고 하였는지는 모르지만, 의인(宜人)은 종 6품이나 정 6품 부인의 품계로 여자의 묘인데도 불구하고 정걸방(鄭乞方)의 묘라고 단정하고 있다. 정걸방(鄭乞方)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니, 한말과 일제시대에 지리산 세석 음양수 근처에 살았던 도인으로, 거지 행색을 한 姓은 鄭氏 이름은 걸방(乞方), 걸방(乞方)은 그 사람의 이름이 아닌 별호인 듯하다. 의인 나주 정씨는 여자이고 정걸방(鄭乞方)은 남자인데... 전혀 근거가 없는 꾸며낸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