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잘 찍는 방법...공 부 방 2017. 10. 24. 11:45
1.셔터[Shutter]
사진에서 셔터 속도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셔터의 동작 원리와 셔터 속도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원하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 셔터는 필름이나 이미징 센서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카메라 촬상면의 바로 앞에 위치하며, 얇은 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셔터가 열렸다 닫히면서 촬상면이 빛에 노출되는 시간을 셔터 속도라고 합니다.
과거에 사용되었던 카메라의 셔터는 보통 1개의 얇은 막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그러나 1개의 막으로 구성된 셔터는 일정 수준 이상의 빠른 셔터 속도를 구현할 수 없었기 때문에
포컬 플레인 셔터라는 새로운 방식이 개발되었으며, 지금까지도 포컬 플레인 셔터가 많은 카메라에
채용되어 있습니다.
셔터막이 1개인 경우 사진을 촬영하면 한쪽은 빛에 오랫동안 노출되고 다른 한쪽은 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포컬 플레인 셔터는 셔터막을 2개 사용합니다.
사진을 찍으면 먼저 움직이는 셔터막이 선막이 되고 뒤따라 움직이는 막이 후막이 되며, 사진을 촬영하면
선막이 먼저 이동한 다음 약간의 틈을 두고 후막이 뒤따라 움직입니다. 이렇게 움직이면 촬상면 전체에
일정한 시간의 노출을 줄 수 있습니다. 마치 스캐너처럼 선막과 후막 사이의 틈으로 빛이 들어오면서
촬상면을 상하로 스캔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DSLR에 주로 채용되는 포컬 플레인 셔터 유닛
셔터막이 여러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막과 후막으로 나뉘어 상하 주행을 하는 특징이 있다.
☞ 최근에 출시된 카메라는 포컬 플레인 셔터의 셔터막을 여러 장으로 구성해 보다 정교하게 제어를
하고 있습니다.
선막과 후막 사이의 틈을 매우 좁게 설정하고 셔터막을 고속으로 이동시킬수록 빠른 셔터 속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1/8,000초와 같은 초고속 셔터속도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SLR 카메라에는 포컬 플레인 셔터가 널리 채용되어 있지만,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나 미러리스 카메라에는 전자 셔터나 렌즈 셔터와 같은 다른 방식의 셔터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렌즈 셔터는 셔터막이 렌즈에 위치하는데 조리개와 비슷한 모양의 얇은 막을 여닫는 시간으로 셔터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전자 셔터는 셔터막으로 빛에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징 센서에 흐르는 전기를
이용해 셔터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이미징 센서에 전기가 흐르는 동안만 사진이 촬영되므로,
이 시간을 조절하면 빛에 노출되는 시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일부 DSLR에 포컬 플레인 셔터와 전자 셔터를
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셔터 속도가 사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먼저 노출인데, 셔터 속도가
느려지면 촬상면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늘어나 사진이 밝아지고, 반대로 셔터 속도가 빨라지면 사진이
어두워집니다.
또한 피사체의 움직임을 사진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셔터 속도가 빠를수록 피사체의 순간적인 움직임을
정지된 것처럼 포착할 수 있으며, 셔터 속도가 느려지면 피사체의 움직임이 사진에 전부 기록되어 흐려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셔터 속도는 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셔터의 동작 원리와 셔터 속도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원하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1빠른 셔터 속도는 피사체의 순간적인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2셔터 속도를 느리게 하면 피사체의 움직임이 사진에 반영되어 움직임에 따른 궤적이 표현된다.
'공 부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ONE SHOT 와 AI SERVO 차이는 무엇인가 (0) 2019.04.05 양귀비'楊貴妃 (0) 2018.07.04 [지반조사] 토질 및 기초 지질조사 (0) 2016.11.04 지질조사, NX, BX, 시추조사, 지반조사, 보고서, 지반조사 보고서, 지질조사 비용, 지질조사 순서, 굴착행위신고, 굴착행위종료신고 (0) 2016.11.04 지반조사용 보링공 NX와 BX의 차이점... (0) 2016.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