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직 - 유두류록(사진첨부) 1472년-유람록지리 탐구방,탐방기고 2021. 4. 3. 09:26
아래 글은 1472년 김종직선생의 유두류록을 좇아 유람록 복원 산행을 하는 <도솔산인>선생님과 답사한 사진을 첨부하였으며 일부 내용은 사진과 다를수 있습니다
1. 두류산을 유람하기로 하다[엄천-고열암]
나는 영남(嶺南)에서 나고 자랐으니, 두류산은 바로 내 고향의 산이다.
그러나 남북으로 떠돌아 벼슬하면서 세속 일에 골몰하느라 나이 이미 마흔이 되었지만 아직까지 한 번도 유람을 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신묘년(1471년, 성종2년) 봄에 함양 군수(咸陽郡守)가 되어 내려와 보니, 두류산이 바로 그 봉내(封內)에 있어 고개만 들면 푸르게 우뚝 솟은 산을 바라볼 수 있었다.
그러나 흉년으로 인한 민사(民事)와 부서(簿書) 처리에 바빠서 거의 2년이 되도록 한 번도 유람하지 못했다.
그리고 매양 유극기(兪克己_유호인 1445~1494), 임정숙(林貞叔)과 이 일을 이야기하면서 마음에 항상 걸리지 않은 적이 없었다.
그런데 금년(1472년, 성종 3년) 여름에 조태허(曺太虛)가 관동(關東)에서 내가 있는 곳으로 와서 《예기(禮記)》를 읽고,
가을에는 자기 집으로 돌아가기 전에 두류산을 함께 유람할 것을 청하였다.
이에 생각해보니, 몸은 날이 갈수록 파리해지고 다리의 힘도 더욱 노쇠해지니,
이번 해에 유람하지 못하면 다음 해를 기약하기는 힘들 것 같았다.
더구나 때는 중추(仲秋)라 토우(土雨)가 이미 말끔하게 개어, 보름날 밤에는 천왕봉(天王峯)에서 달을 감상하고,
다음날 닭이 울면 해 돋는 모습을 바라보고, 그런 다음 사방을 두루 유람한다면 한꺼번에 여러 가지를 겸하여 얻을 수가 있으므로, 마침내 유람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그리고는 유극기를 불러 조태허와 《수친서(壽親書)》에 ‘유산에 필요한 도구〔遊山具〕’를 살펴보고, 유람에 휴대할 것을 약간 더하거나 줄였다.
참석자 :김종직,유극기,조태허,한백원,해공(가이드),법종,그외 종들 (종리(從吏),옥곤(玉崑),용산(聳山),염정(廉丁))
○ 1472년 8월 14일, 무인일(당시 42세_양력 9월25일)
▼ 덕봉사(德峯寺_경상남도 함양군 병곡면 광평리 586)의 승려 해공(解空)이 와서 그에게 길을 안내하게 하였고, 또 한백원(韓百源)이 따라가기를 요청하였다.
마침내 그들과 함께 출발하여 엄천(嚴川)을 지나 화암(花巖)에서 쉬고 있는데, 승려 법종(法宗)이 뒤따라왔다.
그에게 지나온 곳을 물어보니 험준함과 꼬불꼬불한 형세를 매우 자세하게 알고 있었다.
▼
그래서 그에게도 길을 인도하게 하고 지장사(地藏寺)에 이르니 갈림길이 나왔다.[亦令導行。至地藏寺路岐。: 또한 길을 인도하게 하여 지장사 갈림길에 이르러]
(여기서부터는) 말에서 내려 짚신을 신고 지팡이를 짚고 오르는데, 숲과 구렁이 깊고 그윽하여 벌써 경치가 뛰어남을 깨닫게 되었다.
▼ 아래 지도는 지적도와 오룩스를 합성한것으로 오래전 지적도엔 길이 선명하게 표시되어있다.
기존 오룩스에 표시된 암자터가 지장사터(운서리 1288임)로 추정됨.
※ 점필재보다 한 세대 뒤의 문신인 노진(盧禛, 1518~1578)이 지장사에 와서 <夜宿地藏寺(밤에 지장사에서)>라는 시를 남겼는데
"샘물 소리가 이른 새벽 단잠을 깨우네"라는 싯구절에서 지장사 가까이 계곡이 있었음을 알수있다.
오룩스에 지장사터로 표시된 곳은 운서리 1200번지인데 노장대골과 더 먼곳이라 물소리가 들릴지 의문이다.
▼ 여기서 1리쯤 더 가니 환희대(歡喜臺)란 바위가 있는데, 조태허와 한백원이 그 꼭대기에 올라갔다.
▼ 그 아래는 천 길이나 되는데, 금대사(金臺寺), 홍련사(紅蓮寺), 백련사(白蓮寺) 등 여러 절이 내려다보였다.
▼ 선열암(先涅菴)을 찾아가 보니, 암자가 높은 절벽을 등지고 지어져 있는데, 절벽 밑에 두 샘이 있어 물이 매우 차가웠다.
담장 밖에는 물이 반암(半巖)의 부서진 돌 틈에서 방울져 떨어지는데, 너른 바위가 이를 받아서 약간 움푹 패인 곳에 맑게 고여 있었다.
그 틈에는 적양(赤楊_오리나무) 과 용수초(龍須草)가 났는데, 모두 두어 치〔寸〕쯤 되어 보였다.
그 곁에 돌이 많은 비탈길이 있어, 등덩굴〔藤蔓〕 한 가닥을 나무에 매어 놓고 그것을 부여잡고 오르내려서 묘정암(妙貞菴)과 지장사(地藏寺)를 왕래하였다.
승려 법종이 말하기를, “한 비구승이 있는데, 결하(結夏)와 우란(盂蘭)을 파하고 나서는 구름처럼 자유로이 돌아다녀서 간 곳을 모르겠습니다.”라고 하였다.
先涅庵(선열암)
門掩藤蘿雲半扃 : 문은 등라에 가리고 구름은 반쯤 빗장을 질렀는데
雲根矗矗水冷冷 : 우뚝솟은 바위의 촉촉수 소리 맑고도 깨끗하구나
高僧結夏還飛錫 : 하안거를 마친 고승은 석장을 날리며 돌아갔는데
只有林間猿鶴驚 : 다만 깊은 산속에서 은거하는 선비가 놀라는구나
掩藤 : 등나무
扃 : 빗장경 닫을경.
矗矗 : 우뚝솟을 촉.
冷冷 : 맑고 시원하다.
結夏 : 하안거를 마침.
錫 : 錫杖, 禪杖 도사 승려가 짚는 지팡이 只 : 다만.
猿鶴 : '원숭이와 학'의 의미는 猿鶴沙蟲(원학사충)의 준말로 은거하는 선비를 이르는 말.
주목왕周穆王의 군대가 몰살되어 군자는 죽어서 원숭이나 학이되고 소인은 죽어 모래나 벌레가 된다는 고사.
▼ 그런데 돌 위에는 소과(小瓜) 및 무우〔蘿葍〕를 심어놓았고, 조그마한 다듬잇 방망이와 등겨가루〔糠籺〕두어 되쯤이 있을 뿐이었다.
▼ 신열암(新涅菴)을 찾아가 보았더니 승려는 없고, 그 암자 또한 높은 절벽을 등지고 있었다.
▼ 암자의 동북쪽에는 독녀(獨女)라는 바위 다섯 개가 나란히 서 있는데, 높이가 모두 천여 자나 되었다.
법종이 말하기를, “들으니, 한 부인(婦人)이 바위 사이에 돌을 쌓아 놓고 홀로 그 안에 거처하면서 도(道)를 연마하여
하늘로 날아올라갔으므로 독녀라 호칭한다고 합니다.”라고 하였는데, 그 쌓아놓은 돌이 아직도 남아 있다.
▼ 바위 중턱에 잣나무가 서 있는데, 그 바위를 올라가려면 나무를 건너가서 그 잣나무를 끌어 잡고 바위틈을 돌아 등과 배가 바위에 부딪힌 다음에야 그 꼭대기에 오를 수 있다.
그러니 죽음을 각오하지 않고는 올라갈 수 없었는데, 종리(從吏) 옥곤(玉崑)과 용산(聳山)은 능숙하게 올라가 발로 뛰면서 손을 휘저었다.
▼ 내가 일찍이 산음(山陰)을 왕래하면서 이 바위를 바라보니, 여러 봉우리들과 다투어 나와서 마치 하늘을 괴고 있는 듯했다.
지금 내 몸이 직접 이 땅을 밟아보니, 모골이 송연하여 정신이 멍하고 내가 아닌가 의심하였다.
▼ 여기서 조금 서쪽으로 가 고열암(古涅菴)에 다다르니, 이미 해가 지고 어스름하였다.
▼ 의론대(議論臺)는 그 서쪽 등성이에 있었는데, 유극기 등은 뒤떨어져, 나 혼자 삼반석(三盤石)에 올라 지팡이에 기대어 섰노라니,
향로봉(香爐峯), 미타봉(彌陀峯)이 모두 다리 밑에 있었다.해공(解空)이 말하기를, “절벽 아래에 석굴(石窟)이 있는데, 노숙(老宿) 우타(優陀)가 그 곳에 거처하면서
일찍이 선열암, 신열암, 고열암 세 암자의 승려들과 함께 이 돌에 앉아 대승(大乘), 소승(小乘)을 논하다가 갑자기 깨달았으므로, 이렇게 칭한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議論臺(의논대)
兩箇胡僧衲半肩 : 참선승 두 사람이 장삼을 어깨에 반쯤 걸치고
巖間指點小林禪 : 바위 사이 한 곳을 소림 선방이라고 가리키네
斜陽獨立三盤石 : 석양에 삼반석(의논대) 위에서 홀로 서있으니
滿袖天風我欲仙 : 소매가득 천풍이 불어와 나도 신선이 되려하네
잠시 뒤에 납의(衲衣)를 입은 요주승(寮主僧)이 와서 합장하고 말하기를,
“들으니 사군(使君)이 와서 노닌다고 하는데, 어디 있는가?”라고 하니, 해공이 그 요주승에게 말하지 말라고 눈치를 주자,
요주승의 얼굴이 약간 붉어졌다.
그래서 내가 장자(莊子)의 말을 사용하여 위로해서 말하기를, “나는 불을 쬐는 사람이 부뚜막을 서로 다투고, 동숙자(同宿者)들이 좌석을 서로 다투게 하고 싶다.
지금 요주승은 한 낮선 노인네를 보았을 뿐인데, 어찌 내가 사군(使君)인 줄을 알았겠는가?”라고 하니, 모두 웃었다.
贈古涅僧(고열암 중에게 주다)
求名逐利兩紛紛 : 명예를 구하고 이익을 좇는 것 둘 다 어지러우니
緇俗而今未易分 : 지금은 승려와 속인을 구분하기 어렵구나
須陟頭流最高頂 : 모름지기 두류산 최고봉 상봉에 올라보게나.
世間塵土不饒君 : 세간의 흙먼지는 그대를 배부르게 하지 못한다네
紛紛 : 어지럽다. 緇 : 검은옷치, 승복치, 승려, 중치
이 날에 나는 처음으로 산행을 시험하여 20여리를 걸었는데 극도의 피곤으로 깊은 잠을 잤다.
한밤중에 깨어 보니, 달빛이 나왔다 들어갔다 하며, 여러 산봉우리에서 운기(雲氣)가 솟아오르고 있어, 나는 마음속으로 기도를 하였다.
宿古涅庵(숙고열암)
病骨欲支撑 : 지친 몸 지탱하려고
暫借蒲團宿 : 잠시 포단 빌려 잠을 자는데
松濤沸明月 : 소나무 물결 달빛 아래 들끓으니
誤擬遊句曲 : 구곡선경에 노니는 듯 착각하였네.
浮雲復何意 : 뜬 구름은 또한 무슨 뜻인가?
夜半閉巖谷 : 한밤중 산 골짜기 닫혀있구나
唯將正直心 : 오직 올곧은 마음을 가진다면
倘得山靈錄 : 혹시 산신령의 살핌을 얻으려나.
病骨(병골) : 지친 몸, 蒲團(포단) : 부들로 만든 둥근 방석, 浮雲(부운) : 간신. 인생의 덧없음. 不義로 富貴榮達을 누림.
句曲(구곡) : 강소성(江蘇省)에 있는 己山 또는 茅山(모산)이라고 함.
巖谷(암곡) : 고열암, 將 : 持也(가질장), 倘 : 혹시당. 錄 : 省(살핌)也
[원문]
某生長嶺南. 頭流. 乃吾鄕之山也. 而遊宦南北. 塵埃汨沒. 年齒已四十. 尙不得一遊焉. 辛卯春. 持左符于咸陽. 頭流在其封內. 嵬然蒼翠. 擧眼斯得. 而凶年民事. 簿書倥傯. 殆二期. 又不敢一遊焉. 每與兪克己,林貞叔語此. 未嘗不介介于懷. 今年夏. 曺太虛自關東來. 從余讀禮. 及秋. 將返于庭闈. 而求遊玆山. 余亦念羸瘵日增. 脚力益衰. 今年不遊. 則明年難卜. 況時方仲秋. 䨧霾已霽. 三五之夜. 翫月於天王峯. 鷄鳴. 觀日出. 明朝. 又周覽四方. 可一擧而兼得. 遂決策遊焉. 乃邀克己. 共太虛. 按壽親書所云遊山具. 稍增損其所齎.
十四日戊寅. 德峯寺僧解空來. 使爲鄕導. 韓百源請從. 遂歷嚴川. 憩于花巖. 僧法宗尾至. 問其所歷. 阻折頗詳. 亦令導行至地藏寺. 路岐. 舍馬著芒鞋. 策杖而登. 林壑幽窅. 已覺勝絶. 一里許有巖. 曰歡喜臺. 太虛,百源. 上其巓. 其下千仞. 俯見金臺,紅蓮,白蓮諸刹. 訪先涅菴. 菴負峭壁而構. 二泉在壁底極冽. 墻外. 水自半巖缺泐. 津溜而落. 盤石承之. 稍坳處. 瀅然渟滀. 其罅生赤楊龍須草. 皆數寸. 傍有磴路. 繫藤蔓一條于樹. 攀之上下. 以往來于妙貞及地藏. 宗云. 有一比丘. 結夏盂蘭. 罷後雲遊. 不知所向. 種小瓜及蘿葍於石上. 有小砧杵糠籺數升許而已. 訪新涅. 無僧. 亦負峭壁. 菴東北有巖. 曰獨女. 五條離立. 高皆千餘尺. 宗云. 聞有一婦人. 累石巖間. 獨棲其中. 鍊道沖空. 故爲號云. 所累石猶存. 柏生巖腰. 欲上者. 梯木挽其柏. 廻繞巖闕. 肯腹俱盪磨. 然後達其頂. 然不能辦命者. 不能上. 從吏玉崑聳山. 能上而超足麾手. 予嘗往來山陰. 望見是巖. 與諸峯角出. 若柱天然. 今而身跨玆地. 毛骨愯然. 恍疑非我也. 稍西迤抵古涅菴. 日已曛矣. 議論臺. 在其西岡. 克己等後. 余獨倚杖于三盤石. 香爐峯,彌陁峯. 皆在脚底. 空云. 崖下有石窟. 老宿優陁居之. 嘗與三涅僧. 居此石. 論大小乘. 頓悟. 仍以爲號. 少選. 寮主僧荷衲來. 合掌云. 聞使君來遊. 何在. 空目僧休說. 僧面稍赤. 余用蒙莊語. 慰藉云. 我欲煬者爭䆴. 舍者爭席. 今寮主見一野翁耳. 豈知某爲使君. 空等皆笑. 是日. 余初試險. 步幾二十里. 極勞憊. 熟睡夜半而覺. 月色呑吐諸峯. 雲氣騰湧. 余默慮焉.
2. 천왕봉에 오르다[고열암-청이당까지]
○ 1472년 8월 15일, 기묘일(양력 9월26일)
▼ 새벽에는 날이 더욱 흐려졌는데, 요주가 말하기를, “빈도(貧道)가 오랫동안 이 산에 거주하면서 구름의 형태로써 점을 쳐본 결과,
오늘은 필시 비가 오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그래서 나는 기뻐하며 짐을 싸는 인원을 줄여서 돌려보내고 절에서 나와 곧바로 푸른 등나무 덩굴이 깊숙이 우거진 숲속으로 나아갔다.
▼ 큰 나무가 저절로 말라 죽어 좁은 길에 넘어져 있으면서 외나무다리 역할을 하였는데
절반쯤 썩어 있는 가지가 그래도 땅을 지탱하고 있어 행마(行馬)와 같은 모습이여서,
머리를 숙이고 그 밑으로 지나갔다.
그리하여 한 언덕을 지나니, 해공이 말하기를, “이것이 아홉 고개, 바로 구롱(九隴) 가운데 첫 번째입니다.”라고 하였다.
▼ 이어서 세 번째, 네 번째 언덕을 지나 한 동부(洞府)를 만났는데, 지경이 넓고 조용하고 깊고 그윽하며,
수목들이 태양을 가리고 등나무 덩굴이 덮이고 얽힌 가운데 계곡 물이 돌에 부딪혀 굽이굽이 소리가 들렸다.
▼ 그 동쪽은 산등성이인데 그리 험준하지 않았고, 그 서쪽으로는 지세가 점점 내려가는데 여기서 20리를 더 가면 의탄촌(義呑村)에 도달한다.
만일 닭과 개, 소나 송아지를 데리고 들어가서 나무를 깎아내고 밭을 개간하여
기장, 벼, 삼, 콩 등을 심어 가꾸고 산다면 무릉도원(武陵桃源)보다 그리 못하지는 않을 듯했다.
▼ 그래서 내가 지팡이로 계곡의 돌을 두드리면서 유극기를 돌아보고 이르기를,
“아, 어떻게 하면 그대와 함께 은둔(隱遁)하기를 기약하고 이곳에 와서 노닐 수 있단 말인가?” 라고 하고는,
그에게 바위의 한가운데에 이끼를 긁어내고 이름을 쓰도록 하였다.
▼ 구롱을 다 지나서는 문득 산등성이를 타고 가는데, 가는 구름이 나직하게 삿갓을 스치고,
초목들은 비를 맞지 않았는데도 축축이 젖어 있으므로, 그제서야 하늘과의 거리가 멀지 않음을 알았다.
이로부터 몇 리 가지 않아 등성이를 돌아 남쪽으로 가면 바로 진주(晉州) 땅이다.
그런데 안개가 잔뜩 끼어서 먼 곳을 바라볼 수가 없었다.
▼ 청이당(淸伊堂)에 이르러 보니 지붕이 판자로 만들어졌다.
▼ 우리 네 사람은 각각 청이당 앞의 시내 바위를 차지하고 앉아서 잠깐 쉬었다.
이로부터 영랑재(永郞岾)에 이르기까지는 길이 심하게 가팔라서, ‘봉선의기(封禪儀記)’에서 말한,
“뒷사람은 앞사람의 발 밑을 보고, 앞사람은 뒷사람의 정수리를 보게 된다.”는 것처럼,
나무뿌리를 부여잡아야만 비로소 오르내릴 수가 있었다. 그래서 이미 한낮이 지난 뒤에서야 비로소 영랑재로 올라갔다.
함양(咸陽)에서 바라보면 이 봉우리가 가장 높아 보이는데,
여기에 와서 보니, 다시 천왕봉(天王峯)을 올려다보게 되었다.
신라(新羅) 때 화랑(花郞)의 우두머리였던 영랑이 3천 명의 무리를 거느리고 산과 물을 찾아 노닐다가 일찍이 이 봉우리에 올랐었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 한 것이다.
소년대(少年臺)는 봉우리가 곁에 있어 푸른 절벽이 만 길이나 되었는데, 이른바 소년이란 혹 영랑의 무리가 아니었는가 싶다.
내가 돌의 모서리를 안고 아래를 내려다보니, 곧 떨어질 것만 같았다.
그래서 종자(從者)들에게 절벽 난간에 가까이 가지 말도록 주의를 주었다.
이 때 구름과 안개가 다 사라지고 햇살이 내리비추자,
동서의 계곡들이 모두 환하게 트여 여기저기를 바라보니, 모두가 삼나무, 노송나무, 소나무, 녹나무로 그 중 3분의 1이나 말라 죽어 뼈만 앙상하게 서 있었다.
간간이 마치 그림처럼 단풍나무가 섞여 있었다.
그리고 등성이에 있는 나무들은 바람과 안개에 시달려서 가지와 줄기가 모두 왼쪽으로 치우쳐 주먹처럼 굽었으며 잎이 거세게 나부끼었다.
승려가 말하기를, “여기에는 잣나무〔海松〕가 더욱 많으므로, 이 고장 사람들이 가을철마다 잣을 채취하여 공물로 충당하는데,
금년에는 잣이 달린 나무가 하나도 없으니, 만일 정한 액수대로 다 징수하려 한다면 우리 백성들은 어찌 하겠습니까?
수령께서 마침 보았으니, 이것은 다행한 일입니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여기에는 곳곳에 서대초(書帶草)와 같은 풀이 있었는데, 부드럽고 질기면서 매끄러워 이것을 깔고 앉거나 누울 만하였다.
청이당 이하에는 오미자나무 숲이 많았지만, 이곳은 오미자나무는 없고, 다만 땅두릅〔獨活〕과 당귀(當歸)만이 있었다.
해유령(蟹踰嶺)을 지나면서 보니 곁에 선암(船巖)이 있었는데, 법종(法宗)이 말하기를,
“상고 시대에 바닷물이 산릉(山陵)을 넘쳐흐를 때 이 바위에 배〔船〕를 매어두었는데, 방게〔螃蟹〕가 여기를 지나갔으므로 이렇게 이름 한 것입니다.”하였다.
그래서 내가 웃으며 말하기를, “그대의 말이 사실이라면 그때의 생물들은 모두 하늘을 부여잡고 살았단 말인가?” 라고 하였다.
▼ 또 등성이의 곁을 따라 남쪽으로 중봉(中峯)을 올라가 보니, 산중에 융기하여 봉우리가 된 것들은 모두가 돌로 되었는데,
유독 이 봉우리만이 위에 흙을 이고서 단정하고 장중하게 자리하고 있으므로, 발걸음을 자유로이 뗄 수가 있었다.
여기에서 약간 내려와 마암(馬巖)에서 쉬는데, 샘물이 차고 맑아서 마실 만하였다.
가뭄이 들었을 때, 사람을 시켜 이 바위에 올라가서 마구 뛰며 배회하게 하면 반드시 비를 얻게 되는데,
내가 지난해와 금년 여름에 사람을 보내서 시험해 본 결과, 자못 효험이 있었다.
▼ 신시(申時:오후3~5시)에야 천왕봉을 올라가 보니, 구름과 안개가 성하게 일어나 산천이 모두 어두워져서 중봉(中峯) 또한 보이지 않았다.
해공과 법종이 먼저 성모묘(聖母廟)에 들어가서 소불(小佛)을 손에 들고 날씨가 개이게 해달라고 외치며 희롱하였다.
나는 처음에 이를 장난으로 여겼는데, 물어보니 말하기를, “세속에서 이렇게 하면 날이 갠다고 합니다.”라고 하였다.
그래서 나는 손발을 씻고 관대(冠帶)를 정제한 다음 석등(石磴)을 잡고 올라가 사당에 들어가서 술과 과일을 올리고 성모에게 다음과 같이 고하였다.
“저는 일찍이 선니(宣尼)가 태산(泰山)에 올라 구경했던 일 과 한자(韓子)가 형산(衡山)에 유람했던 뜻을 사모해 왔으나,
직무에 얽매여 소원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이번 중추(仲秋)에 남쪽 지경에 농사를 살피다가, 높은 봉우리를 쳐다보니 그 정성이 그치지 않았습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진사(進士) 한인효(韓仁孝), 유호인(兪好仁), 조위(曺偉) 등과 함께 구름 사다리〔雲梯〕를 타고 올라가 사당의 밑에 당도했는데,
비구름의 귀신이 빌미가 되어 운물(雲物)이 뭉게뭉게 일어나므로, 황급하고 답답한 나머지 좋은 때를 헛되이 저버리게 될까 염려하여,
삼가 성모께 비나니, 이 술잔을 흠향하시고 신통한 공효로써 보답하여 주소서.
그래서 오늘 저녁에는 하늘이 말끔해져서 달빛이 낮과 같이 밝고, 명일 아침에는 만리 경내가 환히 트여서 산과 바다가 절로 구분되게 해 주신다면
저희들은 장관(壯觀)을 이루게 되리니, 감히 그 큰 은혜를 잊겠습니까.”
제사를 마치고는 함께 신위(神位) 앞에 앉아서 술을 두어 잔씩 나누고 파하였다.
그 사옥(祠屋)은 다만 3칸으로 되었는데, 엄천리(嚴川里) 사람이 고쳐 지은 것으로, 이 또한 판자 지붕에다 못을 박아놓아서 매우 튼튼하였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바람에 날릴 수밖에 없었다.
<왼쪽 사진 출처는 최화수의 지리산 365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두 승려가 그 벽(壁)에 그림을 그려 놓았는데, 이것이 이른바 성모(聖母)의 옛 석상(石像)이란 것이었다.
그런데 눈썹과 눈, 쪽머리〔髻鬟〕에는 모두 분대(粉黛)를 발라놓았고 목에는 갈라진 틈이 있으므로 그 사실을 물어보니 말하기를,
“태조(太祖)가 인월역(引月驛)에서 왜구(倭寇)와 싸워 승첩을 거두었던 해에 왜구가 이 봉우리에 올라와 그 곳을 찍고 갔으므로,
후인이 풀을 발라서 다시 붙여놓은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그 동편으로 움푹 들어간 석루(石壘)에는 해공 등이 희롱하던 소불(小佛)이 있는데,
이를 국사(國師)라 호칭하며, 세속에서는 성모의 음부(淫夫)라고 전해오고 있었다.
그래서 또 묻기를, “성모는 세속에서 무슨 신(神)이라 하는가?” 라고 하니, 대답하기를, “석가(釋迦)의 어머니인 마야부인(摩耶夫人)입니다.”라고 하였다.
아! 이런 일이 있다니. 서축(西竺)과 우리나라는 천 개 백 개의 세계(世界)로 막혀 있는데,
가유국(迦維國)의 부인이 어떻게 이 땅의 귀신이 될 수 있겠는가?
내가 일찍이 이승휴(李承休)의 《제왕운기(帝王韻記)》를 읽어보니,
‘성모가 선사를 명했다〔聖母命詵師〕’라는 주석에 이르기를,
“지금 지리산의 천왕(天王)이니, 바로 고려 태조(高麗太祖)의 비(妣)인 위숙 왕후(威肅王后)를 가리킨다.” 라고 하였다.
이는 곧 고려 사람들이 선도 성모(仙桃聖母)에 관한 말을 익히 듣고서 자기 임금의 계통을 신격화시키기 위하여 이런 말을 만들어낸 것인데,
이승휴는 그 말을 믿고 《제왕운기》에 기록해 놓았으니, 이도 고증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더구나 승려들의 세상을 현혹시키는 황당무계한 말임에랴.
또 이미 마야부인이라 하고서 국사(國師)로써 더럽혔으니,
그 무례하고 방자하며 공경스럽지 못한 것이 무엇이 이보다 더 심하겠는가? 이것을 변론하지 않을 수 없다.
날이 또 어두워지자 음습하고 찬바람이 매우 거세게 동서쪽에서 마구 불어와,
그 기세가 마치 집을 뽑고 산악을 진동시킬 듯하였고, 안개가 모여들어서 의관(衣冠)이 모두 축축해졌다.
사당 안에서 네 사람이 서로를 베개 삼아 누웠노라니, 차가운 기운이 뼈에 사무치므로 다시 두터운 솜옷을 껴입었다.
종자(從者)들은 모두 덜덜 떨며 어쩔 줄을 몰랐으므로, 큰 나무 서너 개를 태워서 불을 쬐게 하였다.
밤이 깊어지자 달빛이 어슴푸레하게 보이므로, 기뻐서 일어나 보니 이내 검은 구름에 가려져 버렸다.
누(壘)에 기대서 사방을 내려다보니,
천지와 사방이 서로 한데 잇닿아 마치 큰 바다 가운데서 하나의 작은 배를 타고 올라갔다 기울었다 하면서 곧 파도 속으로 빠져들 것만 같은 기분이었다.
그래서 세 사람에게 웃으며 이르기를,
“비록 퇴지(退之)의 정성과 일의 기미를 미리 살펴 아는 도술(道術)은 없을지라도 다행히 그대들과 함께 기모(氣母)를 타고 혼돈(混沌)의 근원에 떠서 노닐게 되었으니,
어찌 좋은 일이 아니겠는가?” 라고 하였다.
[원문]
己卯。黎明益陰翳。寮主云。貧道久住此山。以雲卜之。今日必不雨。余喜。减擔夫遣還。出寺。卽行蒼藤深菁난中。大木之自斃者。顚仆于磎徑。因爲略彴。其半朽者。枝條猶拒地。若行馬然。挽出其下。度一岡。空云。此九隴之第一也。連度三四。得一洞府。寬閑奧邃。樹木蔽日。蘿薜蒙絡。溪流觸石。曲折有聲。其東。山之脊也。而不甚峭峻。其西。地勢漸下。行二十里。達于義呑村也。若携鷄犬牛犢以入。刊木墾田。以種黍稌麻菽。則武陵桃源。亦不多讓也。余以杖叩澗石。顧謂克己曰。嗟乎。安得與君結契隱遁。盤旋於此耶。使之刮苔蘚。題名于巖腹。度九隴訖。便由山脊而行。行雲低拂篢子。草樹不雨而濕。始覺去天不遠也。不數里。循脊南。乃晉州之地也。烟霧瀰漫。不能眺望。抵淸伊堂。以板爲屋。四人各占堂前溪石上。小憩。自此至永郞岾。道極懸危。正如封禪儀記所謂後人見前人履底。前人見後人頂。攀挽樹根。始能下上。日已過午。始登岾。自咸陽望。此峯最爲峻絶。到此。則更仰視天王峯也。永郞者。新羅花郞之魁。領三千徒。遨遊山水。甞登此峯。故以名焉。少年臺。在峯側。蒼壁萬尋。所謂少年。豈永郞之徒歟。余抱石角下窺。若將墜也。戒從者勿近傍側。時雲霧消散。日脚下垂。山之東西谿谷開豁。望之無雜樹。皆杉檜松枏。槁死骨立者。居三之一。往往間以丹楓。正如圖畫。其在岡脊者。困於風霧。枝榦皆左靡拳曲。雲髮飄颺。云。海松尤多。土人。每秋採之。以充貢額。今歲。無一樹帶殼。苟取盈。則吾民奈何。守令適見之。是則幸也。有草類書帶。柔韌而滑。可藉以坐臥。在在皆然。淸伊以下。多五味子林密。而到此無之。只見獨活,當歸而已。歷蠏踰嶺。傍有船巖。宗云。上古海水懷襄時。船繫于玆巖。而螃蠏過之故名。余笑曰。信汝之言。其時生類。盡攀天而活耶。又並脊南登中峯。山中凡隆起爲峯者。皆石。獨此峯。戴土而端重。可以布武焉。稍下步。憩馬巖。有泉淸冽。可飮。値歲旱。使人登此巖。蹈躪便旋。則必致雷雨。余前年及今夏。遣試之。頗驗。晡時。乃登天王峯。雲霧蓊勃。山川皆闇。中峯亦不見矣。空宗先詣聖母廟。捧小佛。呼晴以弄之。余初以爲戲。問之。云。俗云如是則天晴。余冠帶盥洗。捫石磴入廟。以酒果告于聖母曰。某甞慕宣尼登岱之觀。韓子遊衡之志。職事羈纏。願莫之就。今者仲秋。省稼南境。仰止絶峯。精誠靡阻。遂與進士韓仁孝,兪好仁,曺偉等。共躡雲梯。來詣祠下。屛翳爲祟。雲物餴餾。遑遑悶悶。恐負良辰。伏丐聖母。歆此泂酌。報以神功。致令今日之夕。天宇廓然。月色如晝。明日之朝。萬里洞然。山海自分。則某等獲遂壯觀。敢忘大賜。酹已。共坐神位前。酒數行而罷。祠屋但三間。嚴川里人所改創。亦板屋。下釘甚固。不如是。則爲風所揭也。有二僧繪畫其壁。所謂聖母乃石像。而眉目䯻鬟。皆塗以粉黛。項有缺畫。問之。云太祖捷引月之歲。倭冦登此峯。斫之而去。後人。和黏復屬之。東偏陷石壘。空等所弄佛。在焉。是號國師。俗傳聖母之淫夫。又問聖母。世謂之何神也。曰。釋迦之母摩耶夫人也。噫。有是哉。西竺與東震。猶隔千百世界。迦維國婦人。焉得爲玆土之神。余甞讀李承休帝王韻記。聖母命詵師。註云。今智異天王。乃指高麗太祖之妣威肅王后也。高麗人習聞仙桃聖母之說。欲神其君之系。創爲是談。承休信之。筆之韻記。此亦不可▦徵。矧緇流妄誕幻惑之言乎。且旣謂之摩耶。而汚衊以國師。其褻慢不敬。孰甚焉。此不可不辨。日且昏。陰風甚顚。東西橫吹。勢若撥屋振嶽。嵐霧坌入。衣冠皆潤。四人皆枕藉祠內。寒氣徹骨。更襲重綿。從者皆股戰失度。令燒大木三四本以熨之。夜深。月色黯黮。喜而起視。旋爲頑雲所掩。倚壘四瞰。六合澒洞。若大瀛海之中。乘一小舟。軒昂傾側。將淪干波濤也。笑謂三子曰。雖無退之之精誠。知微之道術。幸與君輩。共御氣母。浮游混沌之元。豈非韙歟。
3. 향적사에 머물다
○ 1472년 8월 16일, 경진일(양력 9월27일)
비바람이 아직 거세므로, 먼저 향적사(香積寺)에 종자들을 보내어 밥을 준비해 놓고 지름길을 헤치고 와서 맞이하도록 하였다.
정오가 지나서는 비가 약간 그쳤는데 돌다리가 몹시 미끄러우므로, 사람을 시켜 붙들게 하여 내려왔다.
몇 리쯤 가니 철쇄로(鐵鎖路)가 있었는데 매우 위험하므로, 석혈(石穴)을 뚫고 나와 힘껏 걸어 향적사에 이르렀다.
향적사에는 승려가 남아 있지 않은 기간이 벌써 2년이나 되었지만 계곡 물은 아직도 쪼개진 나무에 의지하여 졸졸 흘러서 물통으로 떨어졌다.
창문의 자물쇠와 향반(香槃)의 기름이 이전처럼 남아 있었으므로, 깨끗이 청소하도록 하고 분향(焚香)하게 한 다음 들어가 거처하였다.
날이 저물 무렵 자욱한 구름이 천왕봉으로부터 거꾸로 불려 내려오는데, 그 빠르기가 일순간도 채 안 되었다.
그리하여 먼 하늘에는 석양이 반사된 데도 있어, 나는 손을 들어 매우 기뻐하면서, 문 앞의 너른 바위로 나아가 바라보니,
육천(䔖川)이 길게 이어져 있고, 여러 산과 해도(海島)는 완전히 혹은 반쯤만 드러나고 혹은 꼭대기만 드러나,
장막 안에 있는 사람의 상투를 보는 것과 같았고, 꼭대기를 쳐다보니 겹겹의 봉우리가 둘러싸여 어제 어느 길로 내려왔는지 알 수가 없었다.
사당 옆에 있는 흰 깃발은 남쪽으로 펄럭였는데, 회화승(繪畫僧)이 나에게 그 곳을 알 수 있도록 알려준 것이다.
여기에서 남북의 두 바위를 내키는 대로 구경하면서 달이 뜨기를 기다렸는데, 이 때는 동방(東方)이 완전히 맑지 않았다.
다시 추위를 견디기 힘들어 등걸불을 태워서 집을 훈훈하게 한 다음에야 잠자리에 드니, 한밤중에는 별빛과 달빛이 모두 환하였다.
[원문]
庚辰. 風雨猶怒. 先遣從者於香積寺. 具食. 令披徑路來迎. 過午. 雨少止. 石矼滑甚. 使人扶携推轉而下. 數里許有鐵鎖路. 甚危. 便穿石穴而出. 極力步投香積. 無僧已二載. 澗水猶依剖木. 潺湲而落于槽. 窓牖關鎖及香槃佛油. 宛然俱在. 命淨掃焚香. 入處之. 薄暮. 雲靄自天王峯倒吹. 其疾不容一瞥. 遙空或有返照. 余擧手喜甚. 出門前盤石. 望䔖川蜿蜒. 而諸山及海島. 或全露. 或半露. 或頂露. 如人在帳中而見其䯻也. 仰視絶頂. 重巒疊嶂. 不知昨日路何自也. 祠旁白旆. 南指而颺. 蓋繪畫僧報我知其處也. 縱觀南北兩巖. 又待月出. 于時. 東方未盡澄澈. 復寒凜不可支. 令燒榾柮. 以熏屋戶. 然後就寢. 夜半. 星月皎然.
4. 여러 산과 봉우리들을 살피다[천왕봉-영신사]
○ 1472년 8월 17일, 신사일(양력 9월29일)
새벽녘 해가 양곡(暘谷)에서 솟아오르는데 반짝반짝 빛나는 기운이 노을 빛깔이었다.
좌우에서는 모두 내가 몹시 피곤하여 다시 천왕봉을 오르기는 힘들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생각컨대, 수일 동안 짙게 흐리던 날이 갑자기 개어 하늘이 나를 대단히 도와준 것인데,
지금 지척에 있으면서 힘써 다시 올라가지 않는다면 평생 동안 마음속에 담아온 것을 끝내 씻어내지 못하리라 여겨졌다.
그래서 마침내 새벽밥을 재촉하여 먹고는 아랫도리를 걷어 올리고 지레 석문(石門)을 통하여 올라가는데, 신에 밟힌 초목들은 모두 고드름이 붙어 있었다.
성모묘에 들어가서 다시 술잔을 올리고 사례하기를,
“오늘은 천지가 맑게 개이고 산천이 환하게 트였으니, 이는 실로 신의 도움을 힘입은 것이라,
참으로 깊이 기뻐하며 감사드립니다.” 라고 하고,
이에 유극기, 해공과 북루(北壘)를 올라가니, 조태허는 벌써 판옥(板屋)에 올라가 있었다.
아무리 높이 나는 큰 기러기와 고니일지라도 우리보다 더 높이 날 수는 없었다.
이 때 막 날이 개니 사방에는 구름 한 점도 없고, 다만 대단히 아득하여 끝을 볼 수가 없었다.
그래서 내가 말하기를,
“대체로 먼 데를 구경하면서 그 요령이 없다면 나무꾼의 소견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그러니 어찌 먼저 북쪽을 바라본 다음, 동쪽, 남쪽, 서쪽을 차례대로 바라보고 또 가까운 데로부터 시작하여 먼 데에 이르는 것이 좋지 않겠는가?”라고 하니,해공이 그 방도를 아주 잘 일러 주었다.
이 산은 북쪽에서 이어와서 남원(南原)에 이르러 우뚝 솟아난 것이 반야봉(般若峯)인데,
동쪽으로 거의 이백 리를 뻗어 와 이 봉우리에 이르러 재차 우뚝하게 솟아올라 북쪽으로 이어져 다하였다.
그 사면(四面)의 빼어남을 경쟁하고 흐름을 다투는 조그만 봉우리와 계곡들에 대해서는 계산에 능한 사람이라도 그 숫자를 다 헤아릴 수가 없었다.
살펴보면 성첩(城堞)을 끌어서 둘러놓은 것과 같이 생긴 것은 함양(咸陽)의 성(城)일 듯하고,
청황색이 복잡하게 섞인 속에 흰 무지개가 관통한 것과 같은 모습은 진주(晉州)의 강과 같은 듯하며,
푸른 산봉우리들이 한점씩 얽히어 사방으로 가로질러서 곧게 늘어 선 것들은 남해(南海)와 거제(巨濟)의 군도(群島)일 듯하다.
산음(山陰), 단계(丹谿), 운봉(雲峯), 구례(求禮), 하동(河東) 등의 고을들은 모두 겹겹의 산골짜기에 자리잡고 있어서 볼 수가 없었다.
그리고 북쪽으로 지척에 있는 산들은 바로 황석(黃石) [안음(安陰)에 있다.]과 취암(鷲巖) [함양(咸陽)에 있다.]이고,
멀리 있는 것들은 덕유(德裕) [함음(咸陰)에 있다.], 계룡(鷄龍) [공주(公州)에 있다.],
주우(走牛) [금산(錦山)에 있다.], 수도(修道) [ 지례(知禮)에 있다.], 가야(伽耶) [성주(星州)에 있다.]이다.
또 동북쪽으로 지척에 있는 산들은 황산(皇山) [산음(山陰)에 있다.]과 감악(紺嶽) [삼가(三嘉)에 있다.]이고,
멀리 있는 것들은 팔공(八公) [대구(大丘)에 있다.], 청량(淸涼) [안동(安東)에 있다.] 이다.
동쪽으로 지척에 있는 산들은 도굴(闍崛) [의령(宜寧)에 있다.]과 집현(集賢) [진주(晉州)에 있다.]이고,
멀리 있는 것들은 비슬(毗瑟) [현풍(玄風)에 있다.], 운문(雲門) [청도(淸道)에 있다.], 원적(圓寂) [양산(梁山)에 있다.]이다.
동남쪽으로 지척에 있는 산은 와룡(臥龍) [사천(泗川)에 있다.]이고,
남쪽으로 지척에 있는 산들은 병요(甁要) [하동(河東)에 있다.]와 백운(白雲) [광양(光陽)에 있다.]이고,
서남쪽으로 멀리 있는 산은 팔전(八顚) [흥양(興陽)에 있다.]이다.
서쪽으로 지척에 있는 산은 황산(荒山) [운봉(雲峯)에 있다.]이고, 멀리 있는 것들은 무등(無等) [광주(光州)에 있다.], 변산(邊山) [부안(扶安)에 있다.],
금성(錦城) [나주(羅州)에 있다.], 위봉(威鳳) [고산(高山)에 있다.], 모악(母岳) [전주(全州)에 있다.], 월출(月出) [영암(靈巖)에 있다.]이고,
서북쪽에 멀리 있는 산은 성수(聖壽) [장수(長水)에 있다.]이다.
이상의 산들이 혹은 조그마한 언덕 같기도 하고, 용이나 범 같기도 하며, 혹은 음식 접시들을 늘어놓은 것 같기도 하고, 칼끝 같기도 한데,
그 중에 동쪽의 팔공산과 서쪽의 무등산만이 여러 산들보다 약간 높게 보인다.
그리고 계립령(鷄立嶺) 이북으로는 푸른 산 기운이 하늘에 널리 퍼져 있고,
대마도(對馬島) 이남으로는 신기루가 하늘에 닿아 있어, 안계(眼界)가 이미 다하여 더 이상은 분명하게 볼 수가 없었다.
유극기에게 알 만한 것을 기록하게 한 것이 이상과 같다. 마침내 서로 돌아보고 자축하여 말하기를,
“예로부터 이 봉우리를 오른 사람들은 많겠지만, 어찌 오늘날 우리들만큼 유쾌한 구경이야 했겠는가?”라고 하고는,
누(壘)를 내려와 바위에 걸터앉아 술 두어 잔을 마시고 나니, 해가 이미 정오였다.
여기에서 영신사와 좌고대를 바라보니, 아직도 멀리 있었다.
속히 석문(石門)을 통해 내려와 중산(中山)에 올라가 보니 이곳도 토봉(土峯)이었다.
고을 사람들이 엄천(嚴川)을 경유하여 오르는 자들은 북쪽에 있는 제이봉(第二峯)을 중산이라 하는데,
마천(馬川)을 경유하여 오르는 자들은 증봉(甑峯)을 제일봉으로 삼고 이 봉우리를 제이봉으로 삼기 때문에 그들 또한 이것을 중산이라 일컫는다.
여기서부터는 모두 산등성이를 따라서 갔는데, 그 중간에 기이한 봉우리가 10여 개나 있어,
모두 올라서 사방 경치를 바라볼 만하기는 상봉(上峯)과 서로 비슷했으나, 아무런 명칭이 없었다.
그러자 유극기가 말하기를,
“선생께서 이름을 지어주시면 좋겠습니다.”라고 하므로, 내가 말하기를,
“고증할 수 없는 일은 믿어주지 않음에야 어찌하겠는가?”라고 하였다. 이곳 숲에는 마가목(馬價木)이 많은데, 지팡이를 만들만 하였으므로,
종자를 시켜 매끄럽고 곧은 것을 골라서 가져오게 하였더니, 잠깐 사이에 한 다발을 가져왔다.
증봉(甑峯)을 넘어 진펄의 평원에 이르니, 마치 문설주와 문지방의 형상으로 굽은 단풍나무가 좁은 길에 서 있었는데,
그 곳을 지나가는 사람은 모두 등을 구부려야 했다.
산의 등성이에 위치한 이 평원은 5, 6리쯤 넓게 탁 트인 곳에 숲이 무성하고 샘물이 돌아 흘렀으므로,
사람이 농사를 지어서 먹고 살기에 적당하였다.
시냇가에는 두어 칸 되는 초막〔草廠〕이 있었는데, 빙 둘러 섶으로 울짱을 치고 온돌〔土炕〕도 놓았다.
이것은 내상군(內廂軍)이 매〔鷹〕를 잡는 막사였다.
나는 영랑재(永郞岾)로부터 이 곳에 이르는 동안, 언덕과 산 곳곳에 설치해 놓은 매잡이 도구를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이 보아왔다.
아직은 가을이 깊지 않아 매 잡는 사람을 찾아 볼 수 없었다.
은하수〔雲漢〕사이를 날아간다는 매가 어찌 이 빼어난 곳에 큼직한 덫을 설치해 두고 엿보는 자가 있는 줄을 알겠는가?
그래서 미끼를 보고 그것을 탐하다가 갑자기 그물에 걸려 노끈에 매이게 되니, 이것으로도 사람을 경계할 수 있겠다.
그리고 나라에 바치는 것은 고작 1, 2련(連)에 불과한데,
재미있는 놀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가난한 백성들로 하여금 눈보라를 견뎌가면서 밤낮으로 천 길 산봉우리의 꼭대기에 엎드려 있게 하니,
어진 마음이 있는 사람으로서는 차마 못할 일이다.
저물녘에 창불대(唱佛臺)를 올라가 보니, 깎아지른 절벽이 너무 높아서 그 아래는 밑이 보이지 않았고,
그 위에는 초목은 없고 다만 철쭉〔躑躅〕두어 떨기와 영양(羚羊)의 똥만이 있을 뿐이었다.
여기에서 두원곶(荳原串), 여수곶(麗水串), 섬진강(蟾津江)의 굽이굽이를 내려다보니, 산과 바다가 서로 맞닿아 더 기이한 광경이었다.
해공이 여러 산골짜기가 모인 곳을 가리키면서 신흥사동(新興寺洞)이라고 하였다.
일찍이 절도사(節度使) 이극균(李克均)이 호남(湖南)의 도적 장영기(張永己)와 여기에서 싸웠는데,
장영기는 개나 쥐 같은 자라서 험준한 곳을 이용했기 때문에 이공(李公) 같은 지략과 용맹으로도 그가 달아나는 것을 막지 못하고,
끝내 장흥 부사(長興府使)에게로 공(功)이 돌아갔으니, 탄식할 일이다.
해공이 또 악양현(岳陽縣)의 북쪽을 가리키면서 청학사동(靑鶴寺洞)이라고 하였다.
아! 이곳이 옛날에 신선(神仙)이 산다는 곳인가.
인간의 세계와 그리 서로 멀지도 않은데, 미수(眉叟) 이인로(李仁老)는 어찌하여 이 곳을 찾다가 못 찾았던가?
그렇다면 호사가가 그 이름을 사모하여 절을 짓고서 그 이름을 기록한 것인가? 해공이 또 그 동쪽을 가리키면서 쌍계사동(雙溪寺洞)이라고 하였다.
세속에 얽매이지 않았던 고운 최치원이 일찍이 노닐었던 곳으로 각석(刻石)이 남아 있었다. 기개를 지닌 데다 난세를 만났으므로,
중국에서 불우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마침내 고고하게 속세 밖에 은둔함으로써 깊고 그윽한 산천은 모두 그가 노닐며 거쳐간 곳이었으니, 세상에서 그를 신선이라 칭하는 데에 부끄러움이 없겠다.
영신사(靈神寺)에서 머물렀는데 여기는 승려가 한 사람뿐이었고, 절 북쪽 비탈에는 석가섭(石迦葉) 한 구(軀)가 있었다.
세조 대왕(世祖大王) 때에 매양 중사(中使)를 보내서 향(香)을 내렸는데, 그 석가섭의 목에도 갈라진 곳이 있는데,
이 또한 왜구(倭寇)가 찍은 자국이라고 했다. 아! 왜구는 참으로 도적이로다.
산 사람들을 남김없이 도륙했는데, 성모와 가섭의 머리까지 또 칼로 베는 화를 입혔으니,
어찌 비록 아무런 감각이 없는 돌일지라도 사람의 형상을 닮은 까닭에 환난을 당한 것이 아니겠는가?
그 오른쪽 팔뚝에는 마치 불에 탄 듯한 흉터가 있는데, 이 또한 “겁화(劫火)에 불탄 것인데 조금만 더 타면 미륵(彌勒)의 세대가 된다.”고 한다.
대체로 돌의 흔적이 본디 이렇게 생긴 것인데, 이것을 가지고 황당하고 괴이한 말로 어리석은 백성을 속여서,
내세(來世)의 이익을 추구하는 자들에게 서로 다투어 돈과 베를 보시(布施)하게 하고 있으니, 참으로 가증스러운 일이다.
가섭전(迦葉殿)의 북쪽 봉우리에는 두 바위가 우뚝 솟아 있는데, 이른바 좌고대라는 것이다.
그 중 하나는 밑은 둥글게 서리었고 위는 뾰족한 데다 꼭대기에 네모난 돌이 얹혀져서 그 넓이가 겨우 한 자 정도였는데,
승려의 말에 의하면, 그 위에 올라가서 예불(禮佛)을 하는 자가 있으면 증과(證果)를 얻는다고 한다.
이 때 종자인 옥곤(玉崑)과 염정(廉丁)은 능란히 올라가 예배를 하므로, 내가 절에서 그들을 바라보고는 급히 사람을 보내서 꾸짖어 중지하게 하였다.
이 무리들은 매우 어리석어 거의 콩과 보리도 구분하지 못하는데, 능히 스스로 이와 같이 목숨을 내거니,
부도(浮屠)가 백성을 잘 속일 수 있음을 여기에서 짐작할 수 있겠다.
법당(法堂)에는 몽산 화상(蒙山和尙)의 그림 족자가 있는데, 그 위에 쓴 찬(贊)에,
蒙山畫幀迦葉圖贊
匪懈堂 李瑢
頭陁第一。是爲抖擻。: 마하가사파존자께서는 두타 수행인 두수를 바르게 실천하시어
外已遠塵。內已離垢。: 밖으로 이미 번뇌를 떨치시고, 안으로 離垢의 경지에 오르셨네
得道居先。入滅於後。: 앞서 道(아라한과)를 깨달으시고 뒤에 적멸의 경지에 드셨으니
雪衣雞山。千秋不朽。: 눈 덮인 계족산에 깃들어 천추에 사라지지 않고 길이 전하리라
하였고, 그 곁의 인장(印章)은 청지(淸之)라는 소전(小篆)이었으니, 이것이 바로 비해당(匪懈堂)의 삼절(三絶)이었다.
그 동쪽 섬돌 아래에는 영계(靈溪)가 있고,
서쪽 섬돌 아래에는 옥천(玉泉)이 있는데,
물맛이 매우 좋아서 이것으로 차를 달인다면 중령(中泠), 혜산(惠山)도 아마 이보다 낫지는 못할 듯하였다.
샘의 서쪽에는 무너진 절이 우뚝하게 서 있었는데, 이것이 바로 옛 영신사이다.
그 서북쪽으로 높은 봉우리에는 조그마한 탑(塔)이 있었는데, 그 돌의 결이 아주 곱고 매끄러웠다.
이 또한 왜구에 의해 넘어졌던 것을 뒤에 다시 쌓고 그 중심에 철(鐵)을 꿰어놓았는데, 두어 개의 층은 유실되었다.
[원문]
辛巳. 曉日升暘谷. 霞彩映發. 左右皆以余困劇. 必不能再陟. 余念數日重陰. 忽爾開霽. 天公之餉我. 多矣. 今在咫尺. 而不能勉強. 則平生芥滯之胸. 終不能盪滌矣. 遂促晨餔. 褰裳. 徑往石門以上. 所履草木. 皆帶氷凌. 入聖母廟. 復酹而謝曰. 今日. 天地淸霽. 山川洞豁. 實賴神休. 良深欣感. 乃與克己,解空. 登北壘. 太虛已上板屋矣. 雖鴻鵠之飛. 無出吾上. 時因新霽. 四無纖雲. 但蒼然茫然. 不知所極. 余曰. 夫遐觀而不得其要領. 則何異於樵夫之見. 盍先望北而次東. 次南次西. 且也自近而遠. 可乎. 空頗能指示之. 是山. 自北而馳至南原. 首起爲般若峯. 東迤幾二百里. 至此峯. 更峻拔. 北蟠而窮焉. 其四面支峯裔壑. 競秀爭流. 雖巧曆. 不能究其數. 見其雉堞. 若曳而繚者. 咸陽之城歟. 靑黃膠戾. 而白虹橫貫者. 晉州之水歟. 靑螺點點. 庚而橫. 矗而立者. 南海巨濟之群島歟. 若山陰,丹谿,雲峯,求禮,河東等縣. 皆隱於襞積之中. 不得而視也. 山之在北而近曰黃石安陰. 曰鷲巖咸陽. 遠曰德裕咸陰. 曰雞龍公州. 曰走牛錦山. 曰修道知禮. 曰伽耶星州. 東北而近曰皇山山陰. 曰紺嶽三嘉. 遠曰八公大丘. 曰淸涼安東. 在東而近曰闍崛宜寧. 曰集賢晉州. 遠曰毗瑟玄風. 曰雲門淸道. 曰圓寂梁山. 東南而近曰臥龍泗川. 在南而近曰甁要河東. 曰白雲光陽. 西南而遠曰八顚興陽. 在西而近曰荒山雲峯. 遠曰無等光州. 曰邊山扶安. 曰錦城羅州. 曰威鳳高山. 曰母岳全州. 曰月出靈岩. 西北而遠曰聖壽長水. 或若培塿. 或若龍虎. 或若飣餖. 或若劍鋩. 而唯東之八公. 西之無等. 在諸山稍爲穹隆也. 雞立嶺以北. 縹氣漫空. 對馬島以南. 蜃氣接天. 眼界已窮. 不復了了也. 使克己. 志其可識有如右. 遂相顧自慶曰. 自古. 登此峯者有矣. 豈若吾曹今日之快也. 下壘距磴而坐. 酌數杯. 日已亭午. 望靈神. 坐高臺. 尙遠. 亟穿石門而下. 登中山. 亦土峯也. 郡人由嚴川而上者. 以北第二峯爲中. 自馬川而上者. 甑峯爲第一. 此爲第二. 故亦稱中焉. 自是. 皆由山脊而行. 其間奇峯. 以十數. 皆可登眺. 與上峯相埒. 而無名稱. 克己曰. 自先生名之. 可矣. 余曰. 其於無徵不信. 何. 林多馬價木. 可爲杖. 使從者. 揀滑而直者取之. 須臾盈一束. 歷甑峯. 抵沮洳. 原有楓樹當徑. 屈曲狀棖闑. 由之出者. 皆不俛僂. 原在山之脊也. 而夷曠可五六里. 林藪蕃茂. 水泉縈廻. 可以耕而食也. 見溪上草廠數間. 周以柴柵. 有土炕. 乃內廂捕鷹幕也. 余自永郞岾至此. 見岡巒處處設捕鷹之具. 不可勝記. 秋氣未高. 時無採捕者. 鷹準. 雲漢間物也. 安知峻絶之地. 有執械豐蔀而伺者. 見餌而貪. 猝爲羅網所絓. 絛鏇所制. 亦可以儆人矣. 且夫進獻. 不過一二連. 而謀充戲玩. 使鶉衣啜飧者. 日夜耐風雪. 跧伏於千仞峯頭. 有仁心者. 所不忍也. 暮登唱佛臺. 巉巉斗絶. 其下無底. 其上無草木. 但有躑躅數叢. 羚羊遺矢焉. 俯望荳原串,麗水串蟾津之委. 山海相重. 益爲奇也. 空指衆壑之會曰. 新興寺洞也. 李節度克均. 與湖南賊張永己戰于此. 永己. 狗鼠也. 以負險故. 李公之智勇. 而不能禁遏其奔逬. 卒爲長興守之功. 可嘆已. 又指岳陽縣之北曰. 靑鶴寺洞也. 噫. 此古所謂神仙之區歟. 其與人境. 不甚相遠. 李眉叟何以尋之而不得歟. 無乃好事者慕其名. 構寺而識之歟. 又指其東曰. 雙溪寺洞也. 崔孤雲嘗遊于此. 刻石在焉. 孤雲. 不羈人也. 負氣槩. 遭世亂. 非惟不偶於中國. 而又不容於東土. 遂嘉遯物外. 溪山幽闃之地. 皆其所遊歷. 世稱神仙. 無愧矣. 宿靈神寺. 但有一僧. 寺之北崖. 有石迦葉一軀. 世祖大王時. 每遣中使行香. 其項有缺. 亦云爲倭所斫. 噫. 倭眞殘寇哉. 屠剝生人無餘. 聖母與迦葉之頭. 又被斷斬. 豈非雖頑然之石. 以象人形而遭患歟. 其右肱有瘢. 似燃燒. 亦云劫火所焚. 稍加焚. 則爲彌勒世. 夫石痕本如是. 而乃以荒怪之語誑愚民. 使邀來世利益者. 爭施錢布. 誠可憎也. 迦葉殿之北峯. 有二巖突立. 所謂坐高臺也. 其一. 下蟠上尖. 頭戴方石. 闊纔一尺. 浮屠者言. 有能禮佛於其上. 得證果. 從者玉崑,廉丁. 能陟而拜. 予在寺望見. 亟遣人叱土之. 此輩頑愚. 幾不辨菽麥. 而能自判命如此. 浮屠之能誑民. 擧此可知. 法堂有蒙山畫幀. 其上有贊. 云. 頭陁第一. 是爲抖擻. 外已遠塵. 內已離垢. 得道居先. 入滅於後. 雪衣雞山. 千秋不朽. 傍印淸之小篆. 乃匪懈堂之三絶也. 東砌下有靈溪. 西砌下有玉泉. 味極甘. 以之煮茗. 則中泠惠山. 想不能過. 泉之西. 壞寺巋然. 此古靈神也. 其西北斷峯有小塔. 石理細膩. 亦爲倭所倒. 後更累之. 以鐵貫其心. 失數層矣.
5. 산에서 내려오다
○ 1472년 8월 18일, 임오일(양력 9월30일)
일찍 일어나 문을 여니, 섬진강(蟾津江)에 조수(潮水)가 넘쳐났는데, 자세히 보니 남기(嵐氣)가 평평하게 펼쳐져 있었다.
밥을 먹고 절의 서북쪽으로 내려와 고개 위에서 쉬면서 반야봉을 바라보니, 대략 60여 리쯤 되는 것 같았다.
이제는 두 발이 다 부르트고 근력이 다하여, 구경하고 싶어도 억지로 할 수가 없어서 지름길로
직지봉(直旨峯)을 돌아내려오는데,[徑由直旨而下 : 곧바로 지름길을 따라 내려오는데, 直指로 봄] 길이 나아갈수록 가팔랐다.
나무뿌리를 잡고 돌 모서리를 디뎌 가며 내려가는데 수십 리의 길이 이와 같았다.
이곳에서 동쪽으로 얼굴을 돌려 바라보니, 천왕봉이 바로 지척에 있는 듯하였다.
<출처: https://blog.naver.com/mgs557/221189995714 바른재 능선에서 바라본 천왕봉>
이곳에는 대나무 끝에 간혹 열매가 있어 사람들이 따서 가져갔다.
백 아름이 될 만한 큰 소나무들이 깊은 골짜기에 즐비하게 서 있었으니, 평소에 보지 못한 것들이었다.
높은 기슭을 내려와서 보니, 두 골짜기의 물이 합쳐지는 지점에 숲과 산줄기를 진동시킬 만한 물소리가 뿜어 나왔으며,
백 자 정도 깊은 맑은 못에는 고기들이 이리저리 헤엄쳐 놀았다.
우리 네 사람들은 여기서 손에 물을 떠서 양치질을 하고 비탈길을 따라서 지팡이를 짚 갔는데 즐거운 여정이었다.
골짜기 입구에는 야묘(野廟)가 있었는데, 마부가 말을 끌고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옷을 갈아입고 말에 올라 실택리(實宅里)에 이르니 부로(父老) 두어 사람이 길 아래에서 맞이하여 절하면서 말하기를,
“사군(使君)께서 산을 유람하는 사이 아무 탈도 없었으니, 감히 하례 드립니다.” 라고 하므로,
나는 그제 서야 백성들이 내가 유람하느라 일을 접어두었다 하여 나를 허물하지 않은 것을 보고 기뻐하였다.
해공은 군자사로 가고, 법종은 묘정사(妙貞寺)로 가고, 조태허, 유극기, 한백원은 용유담(龍游潭)으로 유람하러 가고,
나는 등구재(登龜岾)를 넘어 바로 군재(郡齋)로 돌아왔는데, 나가 유람한 지 5일 만에 가슴 속과 용모가 트이고 단정해짐을 갑자기 느끼게 되어,
처자(妻子)나 이서(吏胥)들이 나를 보더라도 전일과 다를 것 같았다.
아! 두류산처럼 높고 장엄하고 빼어난 산이 중원(中原)에 있었더라면 반드시 숭산(嵩山)과 태산(泰山)보다
먼저 천자(天子)가 올라가 금니(金泥)를 입힌 옥첩 옥검(玉牒玉檢)을 봉(封)하여 상제(上帝)에게 승중(升中)하였을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응당 무이산(武夷山), 형악(衡嶽)에 견주어서, 저 박아(博雅)하기로는 한 창려(韓昌黎), 주 회암(朱晦庵), 채 서산(蔡西山) 같은 이나,
수련(修煉)을 한 이로는 손 흥공(孫興公) , 여 동빈(呂洞賓) , 백 옥섬(白玉蟾) 같은 이들이 서로 연달아 이 산중을 노닐며 거처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유독 군적(軍籍)을 도피하여 부처를 모신다는 용렬한 사내나 도피한 천인들의 소굴이 되어 있으니,
오늘날 우리 들이 한 차례나마 산에 올라 유람하여 그나마 평소에 원하던 것에 보답하기는 했지만,
세속의 일들에 급급하여 두루 청학동을 찾아보고 오대(五臺)를 유람하여, 기이하고 그윽함을 찾아보지 못했으니,
어찌 이 산의 불우(不遇)이겠는가? 자미(子美)의 ‘방장삼한(方丈三韓)’의 시구를 길이 읊조리니,
정신이 날아오름을 스스로 느끼지 못하겠구나. 임진년 중추(仲秋) 5일 후에 쓰노라.
[원문]
壬午. 早起開戶. 見蟾津潮漲. 久視之. 乃嵐氣平鋪也. 食罷. 竝寺之西北. 憩于嶺上. 望般若峯. 約六十餘里. 而兩足盡蠒. 筋力已竭. 雖欲往觀. 不能強也. 徑由直旨而下. 道益懸危. 攀樹根. 履石角. 數十餘里. 皆此類也. 面東而仰視. 天王峯若咫尺矣. 竹梢或有實. 皆爲人所採. 松之大者. 可百圍. 櫛立嵌巖. 皆平日所未見. 旣下峻趾. 二壑之水所合. 其聲噴放. 振搖林麓. 澄潭百尺. 遊魚濈濈. 余四人掬水漱齒. 沿崖曳杖而行. 甚可樂也. 谷口有野廟. 僕人以馬先候焉. 遂更衣乘馬. 抵實宅里. 父老數輩. 迎拜道左云. 使君遊歷無恙. 敢賀. 余始喜百性不以優遊廢事罪我也. 解空. 往君子寺. 法宗. 往妙貞寺. 太虛,克己,百源. 往遊龍遊潭. 余則踰登龜岾. 徑還郡齋. 出遊纔五日. 而頓覺胸次神觀. 寥廓蕭森. 雖妻孥吏胥視我. 亦不似舊日矣.
嗚呼. 以頭流崇高雄勝. 在中原之地. 必先嵩岱. 天子登封金泥玉牒之檢. 升中于上帝. 不然. 則當比之武夷衡岳. 博雅如韓昌黎,朱晦菴蔡西山. 修煉如孫興公,呂洞賓,白玉蟾. 聯裾接踵. 彷徉棲息於其中矣. 今獨爲庸夫逃隸竄籍學佛者之淵藪. 吾輩今日. 蹤得登覽一遭. 僅償平素之願. 而繩墨悤悤. 不敢訪靑鶴歷五臺. 遍探幽奇焉. 夫豈玆山之不遇耶. 長詠子美方丈三轉之句. 自不覺神魂之飛越也. 歲壬辰仲秋越五日. 書.
출처 : 창작소재의보고 문화콘텐츠닷컴
출처 : 원문 고전번역원 국역 도솔산인
'지리 탐구방,탐방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산10대를 찿아서 (0) 2023.10.29 이륙_유지리산록 1463년 - 유람록 (0) 2021.03.01 남명 조식의 유두류록(遊頭流錄) (0) 2021.01.12 지리산의 머나먼 소금길 (0) 2021.01.06 지리산 비지정 탐방로 71곳 (0) 2020.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