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칠암자길 & 삼정산
    지리 산행기 2022. 5. 23. 11:13

    # 언제: 2022년 05월 21일 토요일

    # 산행지: 칠암자길, 삼정산, 삼정산능선, 지리 품속으로...ㅎㅎㅎ

    # 산행거리: 14.2Km   05시간 31분

    # 산행루트: 음정삼거리 - 작전도로 - 도솔암 - 영원사 - 빗기재 - 삼정산 - 삼정산능선 - 실상사

     

     

    산길

     

    산길은 산을 닮아 있다.

    산을 닮은 산길은 산을 배반하지 않는다.

    산이 둥글면 둥글게 길을 열고

    산이 각지면 각지게 길을 열고

    산의 높이만큼

    산의 깊이만큼

    오르내리면서 산과 함께 하고

     

    산길은 나무를 사랑할 줄 안다.

    나무를 사랑할 줄 알아

    나무를 함부로 대하지 않는다

    몸을 낮추고 겸손하게

    나무들의 자리를 탐하지 않고

    비어 있는 곳으로 다니고

     

    산길은 사람을 알아본다.

    사람을 알아보기에 사람을 대할 줄 안다

    성질 급한 사람은 급하게 걷다

    지치게 만들어 천천히 가게 하고

    차분한 사람은 차분하게 걷다

    산 깊은 맛을 보게 하고

    사람에 맞게 길을 가게 하고

     

    산길은 산을 닮아아서 좋고

    산길은 나무를 사랑할 줄 알아서 좋고

    산길은 사람을 알아봐서 좋고

    그래서 산길은 있는 그대로가 좋다.

     

     

    # 산행지도

     

     

    # 산행사진

    지리산 칠암자

    지리산 북쪽능선에 위치해 지리주능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곳이 바로 이 곳 삼정산이다. 지리산이면서 어떻게 삼정산이란 이름을 명명받았는지 궁금하다.지리산 우측으로 지리주능에 갈라져 내려앉은 중봉과 하봉을 바라보고 좌측으로 반야봉을 세우고 다시 노고단을 거쳐 종석대에서 섬진강을 바라보면 다시 달려 만복대를 지나 바래봉과 덕두봉을 솟구치게 한다. 그것이 지리삼신할매가 지키고 있는곳이 칠암자다.   지리산 주능선 삼각봉(1462m)에서 북서로 뻗어내리며 전라북도와 경상남도의 도계를 이루는 능선이 지리산 중북부능선인데 중간에 삼정산이 솟아 일명 삼정산능선이다. 이 주능에서 내려앉은 도솔암(1165m),영원사(895m),상무주암(1162m),문수암(1060m),삼불사(990m),약수암(560m),실상사(330m)가 있는 곳이 지리산 칠암자이다.   도솔암과 상무주암,문수암은 영원사에 부속된 암자이면서 고산지대의 기암절벽을 등지고 천왕봉을 향해 거침없이 조망권을 자랑하는 곳이다. 삼정산 끝자락에 위치한 약수암은 실상사에 부속된 암자로써 보광전의 목조탱화(보물421호)가 유명하고 맑은 약수가 또한 유명해서 약수암이라고도 한다.

     

     

    도솔암

     

     

    영원사

     

     

    삼정산 해발1.182m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과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덕전리 도계선상의 삼정산(1261m)은 지리산 국립공원 북부능선상의 주봉이다.

     

    지리산 주능선을 관망하는 최고의 전망대로써 남부능선의 삼신봉이 있다면, 중북부 능선상에는 삼정산이 있어서 지리산의 주능들을 깔끔하게 조망할 수 있다. 지리산에 있는 봉우리이면서 ‘봉(峰)’이 아닌 ‘산(山)’자를 쓴 삼정산 (三山 1,182m)은 중북부 능선의 얼굴마담 역할을 한다. 이 능선은 경상도와 전라도를 경계 지으며, 시발점인 삼각봉에서 영원봉, 삼정산을 거쳐 실상사 바로 위에서 만수천으로 슬며시 잠긴다. 

     

    이 삼정능선은 삼신봉을 품고 있는 남쪽의 남부능선과 더불어 지리산 최고의 전망대로, 동쪽 끝 함양 독바위, 하봉안부, 하봉, 중봉, 천왕봉, 서쪽 끝의 바래봉, 덕두봉까지 끝 간 데 없이 뻗어가는 지리 영봉들이 눈앞에 장엄하게 펼쳐진다.

     

     

    '지리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운대  (0) 2022.06.12
    삼봉산, 백운산, 금대산  (0) 2022.06.06
    묘향대(妙香臺)  (0) 2022.05.16
    큰대판골, 서산대  (1) 2022.05.09
    동북부 7폐사지(암자탑방)  (1) 2022.05.03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