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충남 홍성'예산 용봉산(龍鳳山)'해발381m&수암산'해발280m 연계 조망산행-2018년03월18일(일요일)
    전국 산행기 2018. 3. 19. 09:20

     

    ▣ 충남 홍성'예산 용봉산(龍鳳山)산행...

     

     

    ▣ 언제: 2018년 03얼 19일 (일요일)

     

    ▣ 산행지: 충남 홍성군 용봉산(龍鳳山)&충남 예산군 수암산 조망산행

     

    ▣ 산행거리: 9.65Km  (04시간57분)

     

    ▣ 산행코스: 용봉초등학교 - 용봉가든 - 용도사(미륵불) - 용봉산 - 최영장군활터(Back) - 노적봉 - 악귀봉 - 절고개 - 마애석불(Back) -

                     용바위 - 병풍바위(Back) - 전망대 - 가루실고개 - 팔각정 - 수암산 - 체력단련장 - 갈림길 - 윤봉길로 -

                     덕산온천(원탕주차자장)             

     

    ▣ 용봉산(龍鳳山)  높이: 해발381m   위치: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용봉산2길 87

    용봉산(龍鳳山) 높이 381m로 큰 산은 아니며 험하지도 않으나 산 전체가 기묘한 바위와 봉우리로 이루어져 충남의 금강산이라 불릴만큼

    아름답다. 정상까지 산행하는 동안 수백장의 한국화를 보듯이 시각각으로 풍경이 바뀌는 것이 용봉산의 특징이다.

    이 산의 이름은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은듯한 형상인데서 유래했다. 남방향 중턱과 서편산록에 완만한 경사가 길게 펼쳐져 있고

    요소요소에 소나무 군락이 자연발생적으로 있으며, 장군바위 등 절경과 백제 때 고찰인 용봉사와 보물 제355호인 마애석불을 비롯한

    문화재가 곳곳마다 산재한다. 용봉산 정상에서 바라보는 예산의 덕숭산(수덕사), 서산의 가야산, 예당 평야의 시원한 경치도 일품이다.

     

    특징,볼거리

    홍성에 위치한 용봉산은 높이는 낮지만 주변 전경이 수려하고 기암괴석이 수석처 같다. 미륵불이 있는 미륵암을 지나 능선에 오르면

    5형제바위,공룡바위, 칼바위 등 즐비한 기암들이 조화를 이루고 바위군을 지나 20여분 내려가면 마애석불이 있는 용봉사가 있다.

    가을철 단풍도 볼만하다.

     

    용봉산은 바위산 답게 기암괴석이 기기묘묘한 형상을 빚어 여느 명산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다. 홍성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이 용봉산을 내세울 만큼 이 고장 사람들은 큰 자랑으로 여기고 있는 산이다. 용봉산을 낀 홍성 일대는 충절의 고향이라는 얘기답게 만해

    한용운 선사, 백야 김좌진 장군, 최영 장군, 사육신의 한 분인 성삼문 등의 생가와 9백의총 등 위인들의 삶의 흔적과 백제 부흥의 마지막

    보루였던 임존성 등 역사유적지가 도처에 남아있다.용봉산의 좌우 중턱에는 고려시대의 고찰 용봉사와 마애석불, 미륵석불이 있다.

     

    옛 문헌에는 영봉사라고 기록되어 있는 용봉사는 지금은 대웅전과 요사체 등 2동밖에 남아있지 않다.하지만 고려시대에는 절 크기가

    아흔아홉간에 불도를 닦는 승려수가 천여명에 이를 만큼 큰 절이었다고 한다. 용봉산은 산세가 수려해 등산길로도 그만이다.

    용봉초등학교 뒷편을 따라 올라 상하리 미륵불을 구경하고 크고작은 봉우리를 휘휘 돌아 정상에 오른 뒤 용봉사 쪽으로 내려오면 두 시간쯤

    걸리는데 산 아래 펼쳐지는 경관이 일품이다.

     

    ▣ 한국의 산하 인기명산(38위)

    수덕사를 품고 있는 용봉산은 산세는 수려하지만 산이 낮아 산행지라기보다 나들이 코스 같아 특정 계절에 치우치지 않고 사계절 두루

    인기 있는 산이다.

     

    ▣ 블랙야크 선정 100대 명산

     

     

    마지막으로 황동규 시인의 연작시

       풍장에서 풍장+28

     

       내 마지막 길 떠날 때

       모든 것 버리고 가도,   혀 끝에 남은 물기까지 말리고 가도,   마지막으로 양 허파에 담았던 공기는   그냥 지니고 가리,   가슴 좀 갑갑하겠지만   그냥 담고 가리,   가다가 잠시 발목 주무르며 세상 뒤돌아볼때   도시마다 사람들 가득 담겨    시시덕거리는 것 내려다 보며   한번 웃기 위해   마지막으로 한번 배 잡고 낄낄대기 위해   지니고 가리...
    우리 죽을 때 허파에 담았던 공기는     그냥 지니고 가며... 세상사 내려다보며 배 잡고    낄낄대며 웃고살자구요...ㅎㅎㅎ

     

     

    ▣ 산행지도

     

     

     

     

     

     

     

     

     

     

     

     

     

     

     

     

     

     

     

     

    ▣ 산행사진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