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리산 천왕봉 동부능선 가을맞이 단풍,조망 산행 - 2019년 10월 19일 토요일
    지리 산행기 2019. 10. 29. 14:53

     

    # 언제: 2019년 10월 19일 토요일

     

    # 산행지: 지리산 천왕봉 동부능선 가을맞이 단풍,조망 산행

     

    # 산행거리: 22.88Km   08시간10분

     

    # 산행코스: 중산리 탐방지원센터 주차장 - 칼바위 - 유암폭포 - 작은통신골 - 샘터 - 장터목대피소 - 재석봉

     

                    통천문 - 천왕봉 - 중봉 - 써리봉 - 치밭복대피소 - 무제치폭포 - 새재갈림길삼거리 - 한판골 -

     

                    유평리 - 대원사 - 대원사주차장

     

     

    # 지리산 천왕봉( 智異山 天王峰)  해발: 1915m   위치: 경남 산청군 사천면

    지리산은 금강산, 한라산과 더불어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알려져 왔으며, 신라 5악중 남악으로 '어리석은 사람(愚者)이 머물면 지혜로운 사람(智者)으로 달라진다 해서 지리산(智異山)'이라 불리워 왔다. 지리산은 백두산의 맥이 반도를 타고 내려와 이 곳까지 이어졌다는 뜻에서 두류산(頭流山)이라고 불리워지기도 하고, 불가(佛家)에서 깨달음을 얻은 높은 스님의 처소를 가리키는 '방장'의 그 깊은 의미를 빌어 방장산(方丈山)이라고도 하였다.


    지리산국립공원(智異山國立公園)은 1967년 12월 29일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으로 경상남도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전라남도 구례군, 전라북도 남원시 등 3개 도, 5개 시.군, 15개 읍.면에 걸쳐 있는 곳으로 그 면적이 440.517㎢에 이르고 있으며, 이를 환산하면 무려 1억 3천평이 넘는 면적이 된다. 이는 계룡산국립공원의 7배이고 여의도 면적의 52배 정도로 20개 국립공원 가운데서 육지면적만으로는 가장 넓다.


    지리산은 남한에서 두번째로 높은 봉우리인 천왕봉(天王峰 : 1,915.4m)을 비롯하여 제석봉(帝釋峰 : 1,806m), 반야봉(盤若峰 : 1,732m), 노고단(老姑壇 : 1,507m) 등 10여 개의 고산준봉이 줄지어 있고 천왕봉에서 노고단까지 이르는 주능선의 거리가 25.5㎞로서 60리가 넘고 지리산의 둘레는 320㎞로서 800리나 된다.


    천왕봉에서 발원되어 흐르는 물로 계곡을 형성하고 있는 칠선계곡을 비롯하여 뱀사골계곡, 대원사계곡 등 수없이 많은 계곡과 불일(佛日)폭포, 구룡(九龍)폭포, 용추(龍湫)폭포 등 뛰어난 자연경관은 명산으로서 전혀 손색이 없으며, 화엄사(華嚴寺), 쌍계사(雙磎寺), 연곡사(燕谷寺), 대원사(大源寺), 실상사(實相寺)등의 대사찰을 비롯한 수많은 암자와 문화재는 이곳이 한국 불교의 산실임을 증명하고 있다.


    지리산은 수많은 식물과 동물, 그리고 사람들에게 삶터를 제공해주는 생명의 산이기도 하다 . 천왕봉에서 노고단에 이르는 주능선에서 마치 양손을 벌리듯 15개의 남북으로 흘러내린 능선과 골짜기에는 245종의 목본식물과 579종의 초본식물, 15과 41종의 포유류와 39과 165종의 조류, 215종의 곤충류가 자라고 있다.


    지리산에서 발원한 물이 덕천강과 엄천강, 황천강을 이루고, 해발 1,000m가 넘는 봉우리가 20여개, 재가 15곳에 이른다. 또 지리산에서 솟는 샘과 이름을 갖고 있는 전망대, 바위의 숫자만도 각각 50여개, 마야고와 반야도사, 호야와 연진 등의 설화에 이상향과 신선의 전설을 안고 있는 지리산. 한때 지리산의 350여 군데에 절과 암자가 있었다는 기록, 국보만도 7점, 보물 26점에 지방문화재와 주요 사적지, 민속자료까지 헤아리지 않아도 지리산은 그 자체로서 이미 충분한 산이며, 어떤 수식도 필요없는 산이다.

     

     

    # 중봉,中峯   해발: 1875m  위치: 경남 산청군 시천면

     

    지리산의 수많은 봉우리들중에서 두번째 높은 봉우리가 바로 천왕봉과 마주하며 서있는 중봉(中峯·1875m)이다. 중봉은 수려한 산세와 울창한 원시림을 자랑하며 智異의 제일에 해당하는 절경을 간직하고 있으나 천왕봉에 가려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중봉은 천왕봉에서 2km, 북쪽으로 뻗어내려 다시 하봉(下峯)으로 이어지는 능선 과 써리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형성한다. 써리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다시 국 수봉으로 연결돼 구곡산까지 계속된다. 이 능선은 이른바 "황금능선"으로 불릴정 도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산세가 험난한데다 원시림과 울창한 산죽들로 인해 등산로 찾기가 여간 힘들지 않아 일반 등산객들은 잘 찾지 않는다.

     


    천왕봉에서 시작된 이 능선을 분기점으로해 형성된 비경의 계곡이 있는데 바로 중봉골이다. 흔히들 이 중봉골을 일러 "지리산 최후의 비경" "미답의 계곡" 등으 로 부르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이는 아직 중봉골이 일반에 덜 개방돼 비교적 자 연 그대로의 계곡미를 간직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실제 이 계곡에는 아직도 그 흔한 등산로 안내판 하나 세워져 있지 않고 있으며 아예 국립공원 관리공단은 이 계곡 입구에 "등산로 아님"이란 안내판을 내걸어 일 부러 찾으려 해도 잘 찾아내기가 힘들도록 해 놓고 있다. 중봉골로 향하는 등산로 입구는 순두류에서 법계사를 향해 1km를 가다보면 "순두 류 1km, 법계사 3km" 란 표지판을 볼 수 있는데 이곳에서 오른쪽으로 "등산로 아 님"이라며 통행을 금지하는 철조망이 쳐져있다. 그러나 중봉골로 가려면 철조망 을 넘어야 한다. 또 다른 길은 안내판 조금 못가서 철다리를 건너자 마자 등산로 오른편으로 바로 들어가면 넓적한 바위와 함께 계곡이 나오는데 바로 이곳이 중봉골이다. 다시 말 해 천왕골과 중봉골의 합류지점이 바로 철다리 바로 아래 50m 지점이며 이 곳이 신선너덜인데 이곳부터가 중봉골인 셈이다. 신선너들 아래의 계곡은 굳이 부르자면 순두류 계곡이며 순두류 계곡은 여기서부터 중산리 매표소까지에 해당하고 그 아래는 중산리 계곡으로 구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실제 중봉골은 깊이 숨겨져 있는 계곡은 아니다. 그러나 비경으로 숨겨져 인적이 드물 수밖에 없는 것은 대다수 등반객들이 지리산 등산을 계획할 경우 목 적지를 천왕봉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   등산로를 따라 가다 보면 사실 중봉골은 거의 염두에 두지 않는 이유에서이다. 여기에다 아직 등반객의 편의시설이 거의 없는 데다 골을 들어갈수록 험난하기 때문에 입산을 금지하고 있는 탓에 중봉골은 아 직 비경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중봉골을 등반하려면 순두류 1km지점까지 가서 오른쪽 철조망을 넘어 능선길을 따라 30여분 가량 지나다 보면 계곡이 나타나는데 이 지점(용추폭포가 있다)부터 계곡을 따라 중봉 또는 써리봉으로 오를 수 있다. 또 중봉과 천왕봉까지 오르려면 다소 무리가 따를 수 있으므로 간단한 산책정도 로 등반을 하려면 용추폭포를 지나 마야 독녀탕, 윗용소 정도까지만 올라 곧바로 계곡으로 하산하면 스릴 넘치는 묘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써리봉   해발: 1587m   위치: 경남 산청군 삼장면 유평리

     

    지리산 최고봉인 천왕봉 북서쪽에 솟은 써리봉 (해발,1685m)은 바위 봉우리들이 하나의 산을 이루고 있는데, 그 모습이 마치 쎄레를 닮았다 해서 써리봉으로 불린다, (쎄레)는 갈아놓은 논바닥의 흙덩어리를 부수거나 바닥을 팍팍하게 고르는 농기구를 말한다,

     

     

     

    조망이 좋아 천왕봉과 중봉 능선이 한눈에 들어온다.

     

    # 무제치 폭포에서

     

    인생은 한번이다

     

     

     

    저 하늘

     

    저 대지는

     

    저 산

     

    저 바다는

     

    저 산길

     

    저 풍경는

     

    언제나 그대로 이 건만

     

     

     

    변하고 변해가는 건 무얼까

     

    인생 의 삶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인생은 한번이다.

     

     

     

    연습 복습도 없는 우리 인생 삶

     

    단, 꼭 한번 사는 우리 인생 삶

     

     

     

    세상 스쳐가는 흐르는 물처럼 변하고

     

    세상 스쳐가는 바람처럼

     

    마음 어디에 둘 것인가

     

     

     

    변하지 않는 곳

     

    천지 만물에 묶어 두고

     

    변하는 것에 묶어 놓고

     

    함께 떠내려 가지말고

     

     

     

    인생을 허무하게 만들지 말자

     

    인생은 딱 한번 나에게 오니까

     

     

     

    인생은 연습,복습도 없다

     

    인생은 한번이구나.

     

     

     

    -꺼비(정 한 용)-

     

     

     

    # 산행지도

     

     

     

     

     

     

     

     

     

     

     

     

     

     

     

     

    # 산행사진

     

     

     

     

     

     

     

     

     

     

     

     

     

     

     

     

     

     

     

     

     

     

     

     

     

     

     

     

     

     

     

     

     

     

     

     

     

     

     

     

     

     

     

     

     

     

     

     

     

     

     

     

     

     

     

     

     

     

     

     

     

     

     

     

     

     

     

     

     

     

     

     

     

     

     

     

     

     

     

     

     

     

     

     

     

     

     

     

     

     

     

     

     

     

     

     

     

     

     

     

     

     

     

     

     

     

     

     

     

     

     

     

     

     

     

     

     

     

     

     

     

     

     

     

     

     

     

     

     

     

     

     

     

     

     

     

     

     

     

     

     

     

     

     

     

     

     

     

     

     

     

     

     

     

     

     

     

     

     

     

     

     

     

     

     

     

     

     

     

     

     

     

     

     

     

     

     

     

     

     

     

     

     

     

     

     

     

     

     

     

     

     

     

     

     

     

     

     

     

     

     

     

     

     

     

     

     

     

     

     

     

     

     

     

     

     

     

     

     

     

     

     

     

     

     

     

     

     

     

     

     

     

     

     

     

     

     

     

     

     

     

     

     

     

     

     

     

     

     

     

     

     

     

     

     

     

     

     

     

     

     

     

     

     

     

     

     

     

     

     

     

     

     

     

     

     

     

     

     

     

     

     

     

     

     

     

     

     

     

     

     

     

     

     

     

     

     

     

     

     

     

     

     

     

     

     

     

     

     

     

     

     

     

     

     

     

     

     

     

     

     

     

     

     

     

     

     

     

     

     

     

     

     

     

     

     

     

     

     

     

     

     

     

     

     

     

     

     

     

     

     

     

     

     

     

     

     

     

     

     

     

     

     

     

     

     

     

     

     

     

     

     

     

     

     

     

     

     

     

     

     

     

     

     

     

     

     

     

     

     

     

     

     

     

     

     

     

     

     

     

     

     

     

     

     

     

     

     

     

     

     

     

     

     

     

     

     

     

     

     

     

     

     

     

     

     

     

     

     

     

     

     

     

     

     

     

     

     

     

     

     

     

     

     

     

     

     

     

     

     

     

     

     

     

     

     

     

     

     

     

     

     

     

     

     

     

     

     

     

     

     

     

     

     

     

     

     

     

     

     

     

     

     

     

     

     

     

     

     

     

     

     

     

     

     

     

     

     

     

     

     

     

     

     

     

     

     

     

     

     

     

     

     

     

     

     

     

     

     

     

     

     

     

     

     

     

     

     

     

     

     

     

     

     

     

     

     

     

     

     

     

     

     

     

     

     

     

     

     

     

     

     

     

     

     

     

     

     

     

     

     

     

     

     

     

     

     

     

     

     

     

     

     

     

     

     

     

     

     

     

     

     

     

     

     

     

     

     

     

     

     

     

     

     

     

     

     

     

     

     

     

     

     

     

     

     

     

     

     

     

     

     

     

     

     

     

     

     

     

     

     

     

     

     

     

     

     

     

     

     

     

     

     

     

     

     

     

     

     

     

     

     

     

     

     

     

     

     

     

     

     

     

     

     

     

     

     

     

     

     

     

     

     

     

     

     

     

     

     

     

     

     

     

     

     

     

     

     

     

     

     

     

     

     

     

     

     

     

     

     

     

     

     

     

     

     

     

     

     

     

     

     

     

     

     

     

     

     

     

     

     

     

     

     

     

     

     

     

     

     

     

     

     

     

     

     

     

     

     

     

     

     

     

     

     

     

     

     

     

     

     

     

     

     

     

     

     

     

     

     

     

Designed by Tistory.